
미래부는 이번 주파수 할당 공고에 따라 오는 4월 18일까지 주파수 할당 신청을 받고 할당 신청 법인을 대상으로 같은달말 주파수 경매를 실시할 방침이다.
할당 주파수와 대역폭은 △700㎒대역 40㎒폭(A 블록) △1.8㎓대역 20㎒폭(B 블록) △2.1㎓대역 20㎒폭(C 블록) △2.6㎓대역 40㎒폭(D 블록) 및 20㎒폭(E 블록) 등 5개 블록 총 140㎒폭이다.
경매 방식은 50라운드까지 통신사들이 1단계로 동시 오름입찰을 벌이다 낙찰자를 결정하고, 낙찰되지 않을 경우 2단계 밀봉입찰을 하는 혼합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사업자는 140㎒폭 중 최대 60㎒ 폭까지, 광대역 활용이 가능한 A, C, D 블록은 초대 1개까지만 할당 받을 수 있다. 이는 특정 사업자의 주파수 독식을 위한 것이라고 미래부는 설명했다.
이용기간은 신규공급 대역인 700㎒, 1.8㎒, 2.6㎒ 대역은 주파수할당일로부터 10년, 2.1㎒은 주파수할당일로부터 5년이다.
이용가격과 관련해 경매 시작가는 A블록 (700㎒) 7620억원, B블록(1.8㎓) 4513억원, C블록(2.1㎓)3816억원, D블록(2.6㎓ 대역의 40㎒)이 6553억원, E블록(2.6㎓ 대역의 20㎒)이 3277억원으로 각각 확정됐다.
미래부는 투자 활성화·네트워크 조기 구축을 위해 현재 이동통신 사업자가 전국망 기준 13만국을 구축·운용하는 것을 감안해 광대역은 6만8900국, 협대역 4만2400국 이상을 최소 구축토록 했다.
또 오는 12월 재할당 예정인 2.1㎒대역(80㎒폭)의 경우 이번 경매에서 2.1㎓대역 낙찰가의 평균 정도로 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성배 미래부 전파정책국장은 "이번 경매를 통해 주파수 할당이 이뤄지면 2020년까지 모바일 트래픽을 해소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모바일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면서 "약 6조원 이상의 신규 투자도 일어나는 만큼 침체된 정보통신 생태계가 재도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세정 기자 sjl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