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은행, 지방은행 등 119곳중 35곳 교도통신 조사에 응답해

일본 16개 금융기관은 핵무기와 운송시스템의 제조에 관련한 기업에의 투자와 대출을 자제키로 했다는 것이다.
교도통신의 조사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들은 핵무기와 기타 대량파괴무기의 비인도적인 사업에 대한 반발여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핵관련기업과의 사업을 벌이는 것에 대한 국제적인 비판을 피하기위해 이 문제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세웠다.
16개의 금융기관은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의 MUFG은행, 미즈호파이낸셜그룹의 미즈호은행, 미쓰이스미토모(三井住友)파이낸셜그룹의 미쓰이스미토모은행 등 메가뱅크 3곳과 우체국은행과 리소나홀딩스의 리소나은행 등이 포함돼 있다.
교도통신은 지난 2월 하순부터 3월 초순에 걸쳐 모두 119곳의 도시은행, 지방은행, 온라인은행에 서면으로 질문지를 보냈으며 이중 35곳의 은행이 응답했다.
전체의 약 70%는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응답하지 않았다.
오사카(大阪)를 거점으로 하는 리소나은행의 관계자는 지난 2018년 3월에 조조, 개발에 관련한 기업과 사업을 벌이는 것에 대한 국제적인 비판이 높아져 핵과 대인지뢰 등의 분야에 투자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이밖에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보유한 11개의 다른 대출 기관 사이타마(埼玉)현의 사이타마리소나은행, 도쿄(東京)의 아오조라은행, SBI스미신네트은행, 홋카이도(北海道)은행, 이와테(岩手)현의 도후쿠(東北)은행, 간사이(関西)미라이은행 등이다.
또한 홋카이도은행, 고치(高知)현의 고치은행, 오이타(大分)현의 오이타은행을 포함한 9곳은 핵무기금지조약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7년 핵금지조약에 대해 보류를 표명한 20곳의 금융기관중 5곳은 일본정부가 조약서명에 소극적이라고 의문을 나타냈다.
일본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지않지만 미국의 핵우산 아래에 있다. 도후쿠은행, 히고(肥後)은행, 도미야마(富山)현의 도미야마은행 등 12곳은 유엔협정의 채택이 앞으로는 핵관련기업에의 투자에 리스크를 초래할 것이라고 답했다.
조사에 응한 35곳의 금융기관은 모두 대륙간탄도미사일, 핵병기와 기타 핵무기에 관련한 인프라를 탑재할 수 있는 폭격기를 개발하는 기업에 자금을 제공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