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오는 7월 1일부터 통상우편 등기취급 수수료를 현행 1800원에서 2100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인상폭이 ‘달랑’ 300원이었다. ‘껌값 인상’이었다.
통계청이 5월 소비자물가가 ‘마이너스’ 0.3%를 나타냈다고 밝힌 게 바로 며칠 전이었다. 그 기사가 보도된 신문지의 잉크도 채 마르지 않았을 텐데 우정사업본부는 마이너스는커녕 ‘두 자릿수’ 인상이다.
‘2지역’ 요금은 2170원에서 5020원으로 올린다고 했다. 그러면 131.3% 인상이다. 그런데도 발표는 “중량별로 2700∼2910원까지 인상된다”는 것이었다.
박근혜 정부 때 담뱃값을 갑당 2500원에서 4500원으로 올린 적은 있었다. 발표는 ‘갑당 2000원 인상’이었지만, 인상률로는 ‘물경’ 80%였다. 국민은 이후 ‘통 큰’ 인상률을 좀처럼 겪어보지 못했다. 그런데 그런 ‘통 큰’ 인상률이 또 나오는 셈이다.
과거, 전두환 정권은 물가 인상 때 ‘인상률’을 한동안 쓰지 못하도록 했었다. 예를 들어 기름값을 ℓ당 100원에서 150원으로 인상할 경우, 신문 기사의 제목에 “기름값 50원 인상”이라고 쓰도록 강요한 것이다. “50% 인상”이라는 표현은 ‘절대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었다.
당시 신문을 ‘검색’하면 그런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죄다 “무슨 요금 ○○원 인상”이다. “무슨 요금 ○○% 인상”이라는 말은 없다.
이유가 희한했다. 국민에게 물가에 대한 불안감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는 것이었다. 불안감을 없애려면 물가를 올리지 말았어야 좋았다.
전두환 정권은 이렇게 국민의 눈을 가리고 있었다. 그랬던 요금 인상이 ‘관용어’처럼 ‘○○원 인상’으로 정착되고 있다.
또, 가격 인상 때마다 국민이 듣던 게 있다. ‘서비스 질 개선’이다. 부득이하게 가격은 올리지만 서비스 개선으로 보답하겠다는 것이다.
더 있다. 인상 요인을 자체 흡수하려고 노력했지만 어쩔 수 없이 올린다는 얘기도 적지 않게 있었다.
그랬는데, 이번 등기우편요금 인상은 그런 말조차 ‘거두절미’하는 듯싶다. 보도를 그대로 옮기면 이랬다. “우편 이용이 감소한 상황에서 우체국의 공적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