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대금증가에 잦은 접속오류
전산투자비 늘려 안정성 강화
전산투자비 늘려 안정성 강화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주요 증권들이 전산운용비를 잇따라 늘리고 있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개인주식투자시장점유율 1위인 키움증권이다. 키움증권은 지난 1분기 기준으로 18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8% 늘었다. 한국투자증권 26.3%, 미래에셋증권 17.7%, 하나금융투자 17%, 대신증권 12%, NH투자증권 9.9%, 신한금융투자 9.3%, 삼성증권 8% 순이었다.
전산운용비 규모는 삼성증권 188억 원으로 키움증권에 이어 2위에 올랐다. 미래에셋증권 145억 원, NH투자증권 78억 원, 한국투자증권 72억 원, 대신증권 55억 원, 신한금융투자 47억 원, KB증권 46억 원순으로 많다.
증권사들의 전산운용비 증가는 주식시장의 거래대금 증가와 관련있다. 거래대금 급증에 맞춰 주요 주식거래수단인 MTS의 안정성을 강화해야 하는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 1분기 주식시장(코스피+코스닥) 일평균 거래대금은 33조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3%나 급증했다.
증권업계는 거래량이 폭주해 역대 거래량이 갈아치우는 비정상시장상황이 연출되면 MTS장애가 다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SK바이오사이언스 같은 거래량폭주는 1년에 몇번밖에 발생하지 않는다”며 “그 이상 수준을 가정해 전산운용비를 늘리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5.9매 표있음
최성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ada@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