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에너지 시장 혼란으로 움직임이 더 시급하다고 말한다.
바이든은 에너지와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 포럼(Major Economies Forum on Energy and Climate)을 통한 글로벌 리더들의 가상 회의 개회사를 통해 ‘에너지, 운송 및 농업 부문 전반에 걸쳐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제안했다.
이미 일부 중동 지역에서는 너무 더워서 새가 하늘을 날아다닐 수가 없다. 낮에 차량을 가림막 없이 세워두면 불에 탄다. 이 기상조건에서 사람은 살 수가 없으며 식량이나 가축도 살 수가 없다.
2009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출범시킨 국제 기후 포럼에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과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0%를 차지하는 17개국이 참여했다.
이니셔티브는 4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췄다. 메탄 배출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과 유럽연합은 각국이 완화 조치를 통해 최대한 많은 메탄을 포집하고 늦어도 2030년까지 일상적인 연소를 중단할 것을 약속했다.
이 계획은 미국과 유럽연합이 주도하는 광범위한 활동의 일부다. 글로벌 메탄 서약은 지난 가을 글래스고에서 열린 유엔 기후 변화 회의를 앞두고 출범했다.
미국은 국가들이 메탄 배출을 완화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 및 재정 자원을 제공하도록 장려했으며 350만 달러의 기술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메탄은 단기적으로는 이산화탄소보다 지구 온난화 가능성이 더 큰 매우 강력한 온실 가스이지만 UN 환경 프로그램은 석유 및 가스 부문 배출량 거의 절반을 순비용 없이 포집 및 활용할 수 있다.
청정 에너지 기술을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바이든 행정부는 국제 에너지 기구가 권장하는 목표인 900억 달러의 공공 투자라는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국가에 도전했다. 백악관은 초당적 기반시설법을 통해 승인된 215억 달러가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운송 부문 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바이든 행정부는 판매되는 모든 차량의 50%가 탄소 배출 제로 모델이라는 목표를 국가에 채택할 것을 촉구했다. 해운의 경우, 미국과 노르웨이는 늦어도 2050년까지 산업의 완전한 탈탄소화라는 목표에 초점을 맞출 올해 11월 이집트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 변화 회의에서 ‘그린 해운 챌린지’를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은 또한 연구를 지원하고 비료 사용량이 많은 국가가 대체 기술을 채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1억 달러의 신규 자금 조달을 목표로 올해 회의에서 ‘글로벌 비료 챌린지’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는 바이든 전 부통령 취임 이후 세 번째이자, 세계 에너지와 비료 시장을 뒤흔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처음이다. 글로벌 리더들은 이번 침공이 화석연료로부터의 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들이 실수로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구테흐스는 “국내 문제를 다루기 위해 기후 행동을 제쳐두고 있다는 주장도 공허하게 들린다”고 말했다. “만약 우리가 재생 에너지에 더 일찍 대규모로 투자했다면 불안정한 화석 연료 시장에 굴복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립해양대기청은 올해 1월부터 5월까지의 지구 온도가 188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기록상 6번째로 더웠으며 2022년이 10위 안에 들 확률이 99% 라고 말했다. 올해는 기록상 가장 따뜻한 해가 될 것이다.
로디움 그룹(Rhodium Group)의 분석에 따르면 의회와 행정부의 강화된 조치 없이는 기후 온난화 저지는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다.
미국이 늦게나마 기후 문제에 다시 관심을 갖는 것은 다행이다. 미국이나 서방만으로 기후 변동에 대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중국과 인도, 브라질과 동남아가 합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이 가치동맹 위주로 세계질서 재편을 고집하면 안 된다. 인류의 생존을 결정할 글로벌 이슈에 공동 대응 하는 연대를 구축해야 한다.
글로벌 공급망 재배치나 탈세계화에 소요되는 비용을 아끼고 기술혁신이나 과학연구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 시진핑이나 그의 추종세력, 푸틴이나 그 추종세력을 설득하는 국제적 연대를 만들어 가야 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