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내 연구진, RNA 활용 희귀난치병 유발인자 찾아…치료제 개발 선도

글로벌이코노믹

ICT

공유
0

국내 연구진, RNA 활용 희귀난치병 유발인자 찾아…치료제 개발 선도

외분비샘 침범하는 자가면역질환

'쉐그렌 증후군' 발병 매커니즘 모식도. 사진=KAIST이미지 확대보기
'쉐그렌 증후군' 발병 매커니즘 모식도. 사진=KAIST
국내 연구진이 희귀난치병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를 찾아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치료제 개발도 주도하게 될 전망이다.

KAIST는 김유식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임성갑 교수, 이윤종 분당서울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그리고 차승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희귀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인 '쉐그렌 증후군'(Sjögren’s Syndrome)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를 찾아냈다고 31일 밝혔다.
원인불명의 만성 전신 염증 질환인 쉐그렌 증후군은 눈물샘 및 침샘 등 외분비샘을 주로 침범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안구 및 구강건조증 등 외분비샘 기능 저하가 가장 흔한 증상이지만 외분비샘 외 장기 침범이 다양하고 악성 림프종 합병증에 대한 위험이 특징적으로 수반되고 있다. 주로 중년 여성에게 나타나며 환자 중 약 3분의 1은 림프종, 관절염, 간 손상, 기관지염 등의 다양한 전신증상을 겪는다. 심할 경우 악성 림프종 및 폐 섬유화 합병증으로 조기 사망할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연구팀은 쉐그렌 증후군에서 비정상적인 면역 활성을 유발해 외분비샘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물질로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mt-dsRNA)를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mt-dsRNA라는 쉐그렌 증후군 증상 조절 인자를 최초로 확립해 비침습성 조기 진단법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윤지민 박사과정생과 이민석 박사가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테라피 뉴클레익 에시드(Molecular Therapy – Nucleic Acids)'에 9월 27일 게재됐다.

김유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난치병으로 인식되고 있는 쉐그렌 증후군에서 mt-dsRNA라는 새로운 병인을 제시했다"며 "특히 mt-dsRNA 발현량 조절을 통한 면역 과활성화의 완화 효과를 고려했을 때 쉐그렌 증후군 외 기타 자가면역질환에서도 mt-dsRNA라는 새로운 생태 병리학적 마커를 활용해 진단 및 치료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KAIST-SNUBH End Run' 협업 과제, 보건복지부 공익적 의료기술연구사업 및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혁신프로그램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여용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d093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