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올해 보안업계에도 AI 영상분석 솔루션이 대세

글로벌이코노믹

올해 보안업계에도 AI 영상분석 솔루션이 대세

에스원, 2023년 보안 트렌드 설문 결과 발표
이미지 확대보기
올해 보안업계도 언택트 보안과 AI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등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에스원은 자사의 85만 고객을 대상으로 '보안 인식'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보안 트렌드를 △AI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시장 주도 △안전 관련 솔루션 각광 △언택트 솔루션 인기 지속 △물리보안, 보안 시장 성장 견인 등으로 분석했다.

에스원에 따르면 보안서비스 이용 고객들이 "올해 보완하고 싶은 서비스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얼굴인식 출입 관리(29.2%) △지능형 CCTV(7.3%) 순으로 답했다. 이들 솔루션의 공통점은 AI 기술이 탑재돼 있다는 점이다.

이어 "최근 일어난 재난, 재해사고로 인해 불안감을 느낀 경험이 있나"라는 질문에 59.1%가 "그렇다"고 답한 가운데 "올해 보완하고 싶은 안전 관련 솔루션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재해 예방 모니터링 솔루션(65.9%) △지능형 CCTV(18.9%) △차량운행관리 솔루션(5.9%) △AED(3.4%) 순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후, 일상 생활에 있어 대면/비대면 중 선호하는 생활 패턴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67.2%가 "비대면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올해 보완하고 싶은 언택트 솔루션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얼굴인식 출입관리 솔루션(73.2%) △모바일 카드(12.1%) △화상회의 솔루션(6.3%) △재택근무 관리 솔루션(6.0%)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월패드 해킹, 랜섬웨어 사고 등 사이버 범죄가 증가하며 정보보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지만 안전 관련법 시행, 팬데믹 장기화 등으로 오히려 물리보안 시장 성장세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물리, 정보보안 중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81.7%가 "물리보안을 이용한다"고 응답했으며 3.4%가 "정보보안을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두 가지 서비스를 모두 이용한다"는 응답은 14.9%로 나타났다.

"올해 보완하고 싶은 보안 서비스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네트워크 보안(5.8%) △PC보안(3.6%) 등 정보보안을 선택한 응답자가 9.4%에 그친 반면 △CCTV(39.7%) △출입관리 솔루션(28.5%) 등 물리보안을 선택한 응답자가 전체의 79.4%에 달했다.


여용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d093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