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업계에서는 두 기업이 공급망 다변화 전략 차원에서 손을 맞잡은 것으로 해석했다. 삼성디스플레이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 부품을 납품해주는 공급망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었고, LX세미콘 역시 다양한 납품처 확보를 통해 수익 극대화를 노릴 수 있어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는 분석이다.
DDI가 핵심 부품인 만큼 칩 제조사와 디스플레이 업체 간의 협력관계는 매우 긴밀하고 폐쇄적이다. 디스플레이에 관한 기술 정보가 공유되는 만큼 신뢰와 보안이 서로 담보되지 않으면 협력관계를 맺기 어렵기 때문이다.
과거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를 통해 LX세미콘의 DDI가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납품하기도 했지만, 삼성디스플레이와 LX세미콘은 직접 거래가 전혀 없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단단했던 DDI 공급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흔들렸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시장이 확대되자 디스플레이 수요가 급증하면서 DDI 시장 역시 급격하게 확장됐다.
게다가 삼성디스플레이의 주요 DDI 공급처 중 하나였던 매그나칩의 중국 매각 추진도 삼성을 긴장시켰다. 매그나칩의 대주주인 헤지펀드가 중국계 사모펀드에 회사를 매각하려 했던 것이다.
결과만 보면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매그나칩 매각은 결국 무산됐다. 하지만 삼성디스플레이는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졌다.
업계에서는 이런 과정을 거쳐 삼성디스플레이가 새로운 DDI 공급처로 LX세미콘을 선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LX세미콘 역시 주요 고객인 LG디스플레이의 경쟁사인 삼성디스플레이와 협력관계를 맺는 것이 상당한 부담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스마트폰·노트북·태블릿 등 중소형 OLED 시장 1위 기업인 삼성디스플레이의 주요 공급처에 포함될 경우 상당한 납품처 다변화 효과와 수익 향상도 기대되는 만큼 손을 맞잡기로 결정했다는 후문이다.
재계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X세미콘의 협력관계에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앞서 LG전자가 노트북에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을 탑재키로 결정한 데 이어, 삼성전자 역시 TV에 LG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을 적용했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디스플레이와 LX세미콘의 협력이 알려지자 오랜 기간 동안 경쟁자로 지내왔던 두 대기업이 이제는 협력을 위한 파트너 관계로 진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두 대기업 집단은 창업자 간에 사돈 관계를 맺을 정도로 돈독했지만, 삼성전자가 설립되면서 관계가 소원해졌다. 하지만 이재용 회장과 구광모 회장 등 3세 경영 시대를 맞으면서 불필요한 경쟁을 지양하고 있으며, 중국 등 후발 주자들의 추격이 본격화되면서 초격차 전략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시스템LSI를 통해 글로벌 DDI 점유율을 55% 이상 보유한 1위 업체"라면서 "글로벌 점유율 2위 업체인 LX세미콘(14.6%)과의 협력관계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는 안정적인 공급처를 확보하고, LX세미콘은 대규모 납품처를 추가하는 윈윈 구조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서종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ojy7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