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회사 매출액 증가 등 전년대비 58개사 추가
공시 의무 위반, 정보보호 현황 공시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공시 의무 위반, 정보보호 현황 공시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2023년 정보보호 공시의무 대상 기업 수. 사진=과기정통부](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304211615050827806941316ce12162408.jpg)
올해 정보보호 공시의무 대상기업은 대·중견 이상의 상장회사, 주요 정보통신 설비를 갖춘 기간통신사업자, 이용자 수가 많아 정보보호 필요성이 큰 온라인 스트리밍 및 SNS 운영사 등이 포함되었으며 상장회사의 매출액 및 온라인 서비스 이용자 수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58개사가 추가되었다.
과기정통부는 대상 기업을 과기정통부 누리집, 전자공시시스템(공시 종합포털)에 공개했으며, 이 중 기업 스스로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오는 5월 7일까지 이의신청서와 이의신청에 대한 증빙자료를 함께 제출하고 그 결과를 안내받을 수 있다.
정보보호 공시의무 대상기업은 오는 6월 30일까지 정보보호 공시 내용을 작성해 정보보호 공시 종합포털에 제출해야 하며 공시 의무를 위반해 정보보호 현황을 공시하지 아니한 경우 최대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기업의 정보보호 공시 내용 작성을 돕기 위해 지난 1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6월 초까지 사전점검 지원 및 자료 산출 교육을 집중적으로 운영 중이며, 자세한 사항은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 정창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의무공시 제도 도입 2년 차를 맞이하여 공시 실무교육 확대, 가이드라인 개정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제도 활성화를 통해 기업은 정보보호 역량 점검 및 투자를 확대하고, 이용자는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하여 안전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태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d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