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건설 및 부동산업 관련 대출 잔액은 올해 1월 말 기준 56조4000억원(한국신용평가 기준)에 달해 2019년 말 대비 2배 이상 늘어났다. 특히 관리형토지신탁 사업비 대출은 2019년 말 1694억원에서 올해 1월 말 약 15조8000억원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새마을금고는 최근 수년간 부동산 개발 사업에 돈을 빌려주는 PF 사업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고 금리가 상승하면서 부동산 개발 공사가 지연되거나 취소되는 경우가 잦아졌다. 지방 건설 프로젝트가 중단되면서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해 이에 따른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말 3.6%였던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지난달 6.2%로 2배 가까이 뛰었다. 특히 지난달 건설·부동산업 관련 대출의 연체율은 12%대를 넘어섰다.
부동산 PF에 문제가 생길 경우 리스크는 증권업계로 확대될 수 있다. 한신평은 “26개 증권사가 보유한 전체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28조4000억원 중 새마을금고와 공동으로 참여한 금액은 전체의 10% 수준인 2조7000억원”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들의 공동 참여 금액 비율은 20.1%로 대형사(평균 4.6%)보다 높았다.
한신평은 “중소형 증권사가 참여한 현장에서 새마을금고는 상당히 중요한 대주 지위를 보유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새마을금고는 1000억~2000억원 규모의 사업장에 약 200억~500억원 내외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부분 선순위로 참여하고 있다. 이때 주요 대주단 구성은 목표수익률이 높은 제2금융권인 증권사와 캐피털사가 많다. 이들은 중·후순위로 참여하면서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한다.
하지만 이런 고수익률은 위험과 비례한다. 새마을금고가 대출한 부동산 PF 사업장이 부실이 되면 후순위인 증권사와 캐피털사도 같이 피해를 볼 수 있다. 혹시 연체가 되더라도 선순위 참여자인 새마을금고는 담보물을 매각해 자금을 회수할 수 있지만 중·후순위 참여자인 증권사나 캐피털사는 대출금 일부를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다.
부동산 PF 부실 위기가 커지면서 금융당국이 긴급 점검에 나섰다. 황선오 금감원 부원장보는 부동산 익스포저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위한 간담회에서 최근 증권사 PF 대출 연체율의 상승 추세를 지적했다. 황 부원장보는 과도한 연체율이 지속될 경우 금융업계 전반의 평판 약화로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황 부원장보는 회수가 어려운 부실 채권은 조속히 상각하고, 부실 우려가 있는 PF 대출은 신속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비해 손실 흡수 능력을 확보하고 불투명한 사업 진행에 대해서는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금융당국은 지난 4월 말 재가동한 PF 대주단 협약을 통해 부실 사업장에 대한 정상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협약이 적용된 부실 우려 사업장은 91곳으로 이 중 66곳은 만기 연장, 신규 자금 지원 등으로 정상화가 진행 중이다. 오는 9월에는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도 가동될 예정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부동산 PF 부실 위기의 재발 가능성에 대해 "자연스러운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 그 과정에서 일부 시공사나 건설사가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지만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노훈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unjuro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