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이 CJ대한통운 건설부문, HL에코텍 등과 공동으로 '차세대 MBR(분리막 생물-반응기) 공정'에 관한 기술 개발 완료를 앞두고 있다. MBR 공정은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분리 공정 중 하나로 생물학적 처리와 분리막을 통한 처리 방식을 결합한 것이다.
지난 2022년부터 3사는 협력을 통해 △Grab-Cube △총인(T-P, Total Phosphrus) 제거 강화 시스템 △에너지절감형 산기관 등을 개발해 기술고도화에 집중했다. 수처리 과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키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이다.
수처리 과정의 신기술은 새롭게 유입되는 해당 분야 진출 기업들에게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다. ESG 경영의 중요성이 높아지며 글로벌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배출하는 탄소를 줄일 수 없다면 상쇄시킬 방법이 필요하다.
건설업계도 적극적으로 친환경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참여하는 기업들이 많아지는 만큼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신기술 개발 노력 이외에 글로벌 무대로 수처리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힘을 기울이고 있는 회사도 있다.
태영건설은 지난 8월 방글라데시에서 약 10억달러 규모의 '치타공 BSMSN 경제구역 용수공급 사업에 대해 우선사업협상권을 확보했다.
태영건설은 지난 2019년부터 모두나갓 정수장을 설치하고 현지의 상하수도 시설 확충을 위해 반달주리 상수도사업(2023년 8월 말 준공 예정), 치타공 하수도사업(2027년 1월 준공 예정)도 진행하고 있다. 이전 성과를 바탕으로 이번 수주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해외 수처리 사업은 정부 산하 기관이 중심이 되는 국내와 달리 처음부터 끝까지 전 과정을 기업이 담당하며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만큼 얻을 수 있는 이익도 많다. 이에 태영건설뿐만 아니라 GS건설과 SK에코플랜트, 포스코이앤씨 등 대형건설사들도 높은 관심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건설업계의 이 같은 움직임은 지속되는 주택시장 침체와 불안정한 미래 전망 때문이다. 기존 전통 건설업에서 축적된 설계·구매·시공(EPC) 역량을 살리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사업이 절실하고 이에 최적화된 분야 중 하나가 수처리 사업이다.
수처리 분야의 폭이 넓은 것도 건설업계가 관심을 보이는 이유로 꼽을 수 있다. 특히 물이 필요하지 않은 산업이 없기 때문에 중요성은 더 커지고 있다. 물 부족 국가의 경우 해수 담수화 작업도 절실한 분야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성장성이 보장된다.
또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도 건설업계가 친환경 사업으로 진출하는 것은 필수 요소가 됐다.
세계 수처리 관련 시장도 커지고 있어 새로운 성장 동력원으로 충분히 가치가 있다.
시장조사 기관 글로벌 워터마켓에 따르면 세계 수처리 시장은 오는 2025년 1000조원, 2030년에는 15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전 세계적인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에 따른 수요 증가, 자연환경 악화 등으로 인한 '물 부족 문제'가 대두 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