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은 12일 발간한 '보증금 반환 지연 및 미반환 구조 이해와 임차인 불안 완화 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보증금 반환 지연 위험 가구'는 24만1000~49만2000가구이며, 온전히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보증금 미반환 위험 가구'는 2만~4만2000가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임대인 중 상당수는 낮은 저축액과 대출가능액을 보이며, 이는 부동산 시장 충격이 발생했을 시 보증금 미반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보증금이 만기 시 매매시세에 비해 높은 경우 깡통전세의 비중도 지난해 상반기 0.7%였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5.1%까지 올랐다. 깡통전세 비율은 전남 광양시(31.2%), 대구 달서구(26.6%), 대구 남구(24.8%), 대구 중구(23.9%), 대구 북구(17.9%), 전남 순천시(15.7%)에서 높았다.
윤성진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보증금 미반환 위험 주택의 시장 진입 제한 등 제도적 관리 강화해야 한다"면서 "세부적으로 전세가율 90% 초과 주택은 임대시장 진입을 제한하고, 전세가율 60~90%은 보증금 반환보증을 통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