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핀테크, 저축은행 품는다③] 부동산PF 10조 연체율 상승…저축은행 절반 넘는 41개사 적자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핀테크, 저축은행 품는다③] 부동산PF 10조 연체율 상승…저축은행 절반 넘는 41개사 적자

79개사 중 41개사 ‘영업손실’…조달부담·대손비용·NIM 축소 영향
정부가 만기연장 등으로 부실 이연시켰지만… 총선이후 불안

부동산 금융 부실화 여파에 저축은행 위기론이 확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부동산 금융 부실화 여파에 저축은행 위기론이 확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고금리에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고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위험이 커져 내년부터 저축은행 부실화가 현실화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저축은행 연체율은 정부의 이자유예·만기연장 조치로 인해 실질적인 위험이 이연돼 내년 총선 이후 폭탄이 터질 수 있다는 것이다. 내년 정부의 ‘대출 연착륙’ 정책에 따라 그간 숨겨왔던 부실이 수면 위로 올라올 가능성이 높아 ‘제2 저축은행 사태’가 터지지 않을까 걱정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저축은행 79개사의 당기순이익은 962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절반이 넘는 무려 41개사가 영업 손실을 봤다. 대형사도 실적 부진 여파를 피하지 못했다. 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애큐온·다올·상상인·모아·신한저축은행 등 총자산 규모 상위 10개사 모두 2분기 당기순이익 112억 원 적자로 부진했다.
저축은행이 수익 부진을 겪는 배경은 대출 규모가 줄어드는 가운데, 금리상승 등으로 인해 조달비용이 늘어나 순이자마진(NIM)이 축소한 영향이다. 여기에 가계신용대출과 부동산 대출 연체율 상승에 따른 대손비용이 증가하면서 실적 하락을 견인했다. 저축은행 업계는 건전성 악화에 대응해 기업대출 중심으로 차입을 줄이고 있지만, 경기업들의 이자 부담이 증가하면서 연체율은 계속해서 악화하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 저축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5.76%로 작년 비해 2.93%포인트(p) 상승했다.

특히 부동산 금융 부실이 전체적인 건전성 하락을 견인하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가 보유한 부동산PF 잔액은 10조 원 수준으로, 올해 상반기 기준 연체율은 4.61%로 작년 말(2.05%) 대비 두 배 이상 악화했다. 이중 절반에 가까운 49.3%가 3개월 미만의 ‘요주의 이하’ 여신으로 구성해 있다.
저축은행은 증권사 등 다른 업권보다 ‘브릿지론’ 비중이 높다. 보통 신용도가 낮은 시행사 등은 부동산 개발자금을 2금융권에서 높은 이자를 내고 빌려 쓴다. 이후 개발이 완료해 사업이 진행되고 수익이 나면, 리스크도 줄면 시중은행으로부터 낮은 이자의 자금을 빌려 갚는다. 시중은행에 돈을 빌리기 전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저축은행을 통해 대출받는 게 브릿지론이다.

브릿지론은 대출 질이 좋지 못하다. 한국신용평가 분석을 보면 개발사업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분양률이 높은 아파트 등의 비중은 15.1%에 그치고, 상업·업무용 부동산이 26.8%, 기타 주거 비중이 58%를 차지한다.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중 브릿지론이 차지하는 비중은 56%로 증권사(30.1%)보다 훨씬 많다. 만기연장 비중은 55.9%로 본PF(30.4%) 대비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투기·무등급 시공사 비중은 87%로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이상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최근 계속해서 저축은행 위기설이 감도는 이유도 저축은행의 고위험 부동산 리스크가 높게 평가되기 때문이다. 실제 저축은행 위기론이 커지면서 정부는 저축은행 인수합병(M&A)규제를 완화해 업계 구조조정 가능성이 부상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7월 M&A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 저축은행과 부실 저축은행에 한해 M&A 허용 기준을 완화한 바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4년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금융당국이 M&A규제를 완화하며 구조조정 가능성이 부상했다”면서 “다만 10년 전 구조조정 당시와 비교하면 위기대응력이 대폭 개선해 있어, 대규모 구조조정 보다는 개별업체에 따른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