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25일 '부동산 PF 리스크 점검회의'를 열고 저축은행, 캐피탈, 상호금융 등 2금융권 임원들에 PF 대출 관련 장기 미착공 브릿지론에 대해 100% 충당금 적립을 요구했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요구대로 진행된다면 PF 관련 2금융권 금융사들은 단순히 계산할 때 올해 적자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당국이 'PF 옥석가리기'를 언급하기 전부터 이미 업계 구조조정 시나리오까지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예상보다 금융당국이 빠르게 움직인다는 점은 그만큼 상황이 좋지 않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이미 시장에 나와 있는 저축은행 매물을 고려하면 업계 구조조정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PF 부실이 더욱 확산될 수도 있고 금리 상승 등 시장에 예기치 못한 충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금융당국은 이러한 부실 확산을 막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한편, NPL 업체들도 분주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에는 12개 저축은행이 공동으로 1000억원 규모 부실채권을 NPL투자회사인 우리금융F&I에 매각했다. 작년 상반기부터 부동산 PF 관련 NPL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당시 브릿지론이 줄줄이 연장되면서 예상이 빗나갔다. 이후 고금리 상황 지속, 각종 비용 증가 등으로 PF 시장 개선 기미가 보이지 않자 NPL 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PF 연장으로 시간이 지연됐지만 지난해 전체 NPL 물량이 적었던 것도 아니다. 올해 PF 물량까지 더해지면 NPL 업체들은 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유동화증권 등의 움직임을 중점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일부 금융사들이 유동화증권을 거래하고 있으며 그 횟수나 규모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최종적으로 처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유동화증권은 NPL 업체에 매각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성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sk1106@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