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현지 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세계 희토류 시장 공급망을 좌지우지했던 중국의 영향력이 지난 10년 사이 공급망 다각화로 급속히 약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희토류는 스마트폰 핵심 반도체와 배터리, 반도체 연마제, 석유화학 촉매제, 각종 센서 및 군수 장비, 전기차 모터에 들어가는 네오디뮴 자석 등 각종 첨단 산업에서 중요한 필수재로 꼽힌다.
미국 지질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세계 희토류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2년 무려 90% 달했다. 하지만 2022년에는 그 비율이 70%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SCMP는 그 이유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당시 촉발된 미·중 무역전쟁에서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내세워 세계 각국을 압박하자 미국을 중심으로 공급망 다변화를 꾀한 것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미국이 자국 내 희토류 채굴 및 개발을 늘린 데 이어, 호주·미얀마·라오스·말레이시아·베트남 등의 국가가 대체 생산국으로 떠오르면서 중국의 입지가 위협받고 있다는 것이다.
SCMP는 “세계적으로 희토류 수요는 증가 추세이지만 생산국이 다양해지면서 중국의 점유율이 점차 줄고 있다”라며 “그만큼 중국의 지위도 위태로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의 희토류 수출이 2020년 이후 서서히 감소하고 있으며, 지난해 중국 내 희토류 대기업들의 수익률이 악화한 것에서도 이런 경향이 확인되고 있다고 SCMP는 덧붙였다.
실제로, 중국 네이멍구에 위치한 북방희토는 지난 19일 발표한 연례 보고서를 통해 작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62.6% 감소했다고 밝혔다.
다만,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시장에서 중국의 1위 자리는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스티븐 나기 일본 국제문제연구소 방문 연구원은 “희토류 광물을 광범위하게 보유한 중국은 관련 산업에 대한 풍부한 노하우를 갖고 있다”라며 “채굴·농축·분리·정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도 감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의 지위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