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에 걸쳐 논의된 핵심 주제는 폴란드와 EU 차원의 중요 자재 공급 보안이었다. 사회자가 폴란드 국영 웨글로콕스가 현재 리버티 스틸이 소유하고 있으며 심각한 재정 문제에 직면해 있는 판재 생산업체 후타 체스토코와 인수를 검토할 수 있다고 제안했을 때 철강 패널은 이 논의에 활기를 띠었다.
폴란드 산업부의 마르토 자르노 분석국장은 이에 동의하면서도 국방은 현재 지정학적 풍토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라고 덧붙였다.
따라서 철강업체들은 앤트워프 선언에서 요구한 대로 유럽산업협정 체결을 희망하고 있다고 모티카는 지적했다.
웨글록스의 토마스 슬레작 최고경영자(CEO)는 철강업체들이 민간기업들에 의해 운영돼야 하지만 "국가가 철강 산업에 대해 신경 쓰지 말아야 한다는 이론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국가는 신경 써야 하고, 철강업체들은 유럽과 해외에서 모두 경쟁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통업체 스톨프로필의 헨리크 오르치코스키 최고경영자(CEO)는 자신도 개인 사업의 지지자이지만 산업계에서 주정부가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철강 제품 생산에 아무런 영향력이 없다면 우리는 국가 안보에 대해 말할 수 없다. 우리는 무엇으로 탱크를 만들 것인가? 무엇으로 중요한 인프라를 만들 것인가?"라고 물었다.
오르치코프스키는 "2004년 폴란드의 철강 산업은 국가의 손에 넘어갔고 수요의 60%가 현지 생산으로 충족됐다"며 "2023년 폴란드는 제로를 소유했고 수입은 수요의 88%를 충족시켰다"고 지적했다. 오르치코프스키는 이어 "이는 즉시 바뀌어야 할 것이며, 국가는 철강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판매 중인 체스토코와나 셀사의 폴란드 공장을 인수하든 민관 파트너십을 맺든 행동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EU도 같은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는 폴란드의 철강 산업을 운영하는 데 관여하지 않고 지원할 것이며, 방위를 지원할 수 있는 생산 능력을 보장할 것이라고 자르노는 관찰했다.
폴란드 유일의 원주민 소유의 철강회사인 코뇨르의 CEO인 퍼제미슬로 쉬처치코프스키는 모든 사업이 사적인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국가가 국방의 목적을 위해 체스토코와를 인수해야 하는 일시적인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이 회사는 다시 민영화되어야 한다고 그는 결론을 내렸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