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8%를 차지하는 산업적으로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순제로 야망을 충족시키는 데는 필수적인 부문의 탈탄소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좋은 소식은 철광석 채굴자부터 제철소에 이르기까지 사실상 시장의 모든 기업들이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실제적인 해결을 위해 시간과 노력, 그리고 자본을 투입하고 있다는 일은 매우 긍정적인 일이다.
현재 상황은 철광석 채굴자들과 제철소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자발적인 약속의 일환으로 탈탄소화 노력을 크게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약속은 대부분 주주, 일부 정부, 일반 대중의 압력에 굴복한 결과로 기후 변화로 예상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무언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탈탄소화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은 회사의 수익에서 제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아시아에서 녹색 혹은 약간 덜 더러운 강철을 생산하는 것에 대한 재정적 보상이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상대적으로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초기 단계에서부터 훨씬 더 어렵고 자본 집약적인 넷제로 철강의 야망에 이르기까지 탈탄소화를 위한 인센티브를 어떻게 도입하느냐 하는 점이다.
한 가지 방법은 계층화된 인센티브 시스템의 도입이다. 용광로를 거쳐 기본적인 산소로 과정을 통해 철광석을 미세화 방식으로 철강 1t당 2.1t의 탄소배출량을 발생시킨다. 이 점을 기준으로 가정할 경우 제철소가 배출량을 3분의 1로 줄일 수 있다면 탄소배출권으로 보상을 받거나 감축된 배출량 1t당 정해진 양의 탄소세를 내는 것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제철소는 배기가스를 3분의 1 더 줄일 수 있지만, 전기 아크로(EAF)에 직접 환원 철(DRI) 또는 출하 가능한 등가 열간 브리퀴티드 철(HBI)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공정에 투자해야만 가능하다면, 이 탄소 감소량은 t당 120달러로 보상받을 수 있다.
HBI를 생산하기 위한 녹색 수소 사용과 EAF 운영을 위한 녹색 전기 사용, 그리고 재료를 운송하기 위해 메탄올과 같은 지속 가능한 선적 연료를 사용하는 것이 친환경 경로이다. 그러나 철강 생산을 완전히 탈탄소화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는 목표에 도달하기까지 배치되어야 하는 막대한 자본을 상쇄하기 위해 훨씬 더 큰 탄소 배출권을 끌어들일 수 있다는 점이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