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미·중 대립 격화 한국기업 대책은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1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미·중 대립 격화 한국기업 대책은

바이든 미 행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중국 제재 수위를 높이고 있다. 사진은 수출 대기 중인 중국 BYD 전기차.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바이든 미 행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중국 제재 수위를 높이고 있다. 사진은 수출 대기 중인 중국 BYD 전기차.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바이든 미 행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중국 제재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요즘 잘나가는 중국산 전기차를 비롯해 청정에너지와 반도체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방침을 정한 상태다.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보조금을 쏟아붓는 분야다. 중국의 저가 시장 공세를 사전에 차단하려는 의도에서다. 중국의 과잉생산으로 글로벌 시장가격을 교란하는 품목은 전기차, 리튬배터리, 태양전지 패널, 범용 반도체 등 다양하다.

미국의 관세압박에 대한 중국의 반발도 예상대로다.
중국 제14기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는 지난달 26일 관세법을 제정해 놓았다. 자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매긴 국가를 대상으로 무차별 관세 보복을 가한다는 내용이다.

세계 최대 무역국인 미국과 중국이 전례 없는 무역 전쟁을 벌일 기세다. 글로벌 교역량 감소는 물론 우리나라 등 주변국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글로벌 최대 전기차 시장은 중국이다.

중국 자동차공업협회 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중국 기업 시장점유율은 56%다. 3년 전의 38%에서 크게 상승했다. 3년에서 5년 걸리던 신차 개발주기도 2년 전후로 단축했다.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전기차 등 신에너지 분야의 기술과 가격경쟁력을 끌어올린 결과다. 미국도 중국 전기차 기업의 독주를 두고 볼 수만은 없는 처지다.

특히 테슬라의 경쟁사로 부상한 BYD는 멕시코에 공장을 추진 중이다.

최종 목표는 미국 시장이다. 중국산 커넥티드카 부품 규제에 이어 전기차 관세를 올리려 하는 미국으로서는 우회 수출을 허용할 리 없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한국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구조다.

특히 중국산 원자재에 대해 관세를 올리면 부품을 수입하는 한국 완성차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한국 수출 중 미국과 중국 비중은 40% 정도다. 두 나라가 충돌하면 한국이 가장 큰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세세하고 전략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