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은 1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산업기술 수준 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국내 대기업·공학회 등의 전문가 2722명을 대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5개국(미국·유럽연합(EU)·일본·한국·중국)의 기술 수준과 기술 격차 등을 설문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미국과 비교했을 때 한국의 산업기술 수준은 88.0%, 기술 격차는 0.9년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준으로 EU의 산업기술 수준은 93.7%(기술 격차 0.39년), 일본은 92.9%(0.43년), 중국은 83.0%(1.2년) 등이었다. 한국의 기술 수준은 2021년(86.9%) 대비 약 1.1%포인트 상승했지만, 최고 기술국과의 기술 격차는 같은 기간 0.8년에서 0.9년으로 다소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74개 세부기술 분야에서 한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5개 분야, 이차전지 2개 분야 등 총 7개 분야에서 최고 기술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전윤종 KEIT 원장은 "높은 기술 수준을 갖춘 분야라도 급변하는 환경 속에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기술 개발에 매진하며 글로벌 초격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