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전날 '미래금융세미나'에서 '망분리 규제 개선'을 밝히면서 금융권이 AI 등 신기술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망분리 규제'는 2013년 발생한 대규모 금융전산사고를 계기로 각종 해킹사건과 고객정보 유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 망과 외부 망을 분리하고 서로 접속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규제다.
우리나라와 비교해 JP모건 등 글로벌 금융사들은 망분리 규제가 기밀 문서 중심으로 적용돼 생성형 AI를 활용한 상품 추천, 문서 작성 등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글로벌 50대 은행의 AI 투자액이 10년 사이 20배 급증하는 등, 우리나라 금융권이 미래 기술 전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망분리 규제 개선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금융회사는 외부 망연결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에 일일이 규제 위반 여부를 확인해야 했다. 계열사 간의 데이터 공유도 어려워 망분리 규제는 계속해서 금융권 AI 발전을 발목 잡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금융지주, 은행, 증권, 보험 등 116개 금융사 IT 직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AI 활용 현황과 정책 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65.7%가 '규제로 인한 활용 제한'을 AI 도입과 활용의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은행권은 각종 규제로 AI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앞으로 망분리 규제가 개선되면, 은행권의 AI 혁신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KB금융지주가 지주를 포함한 9개 금융 계열사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그룹 공동 생성형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고, 우리은행이 지난 4월 금융권 첫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한 ‘AI뱅커’도 선보이는 등 망분리 규제 개선이 새로운 시너지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김소영 부위원장도 "AI를 필두로 하는 핀테크 고도화, 금융·비금융 융합 가속화 등은 이미 우리의 현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금융이 반드시 살려야 할 기회 요인"라고 말했다.
하민지 글로벌이코노믹 수습기자 minjih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