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이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역사적 전환점을 맞이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행정부의 친화적 정책이 암호화폐의 제도화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2일(현지시각) 분석 보도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하는 국내 산업 전략과도 맞물려, 국내 디지털 자산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은 명확하다. 비트코인의 전략적 예비자산 편입, 암호화폐 자문위원회 설치를 공약했으며, SEC 수장으로 지명된 폴 앳킨스는 업계 규제 합리화를 지지해왔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지명자도 "암호화폐는 자유"라며 지지 입장을 밝혔다.
시장 반응은 뜨겁다. 비트코인은 10만 달러를 넘어섰고, 블랙록의 비트코인 ETF는 6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위스콘신주와 미시간주 연기금의 참여는 기관투자 확대의 시작을 알린다. 이러한 기관투자자들의 참여는 암호화폐가 대체투자 자산에서 주류 투자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기금의 참여는 보수적 투자 성향을 지닌 기관들도 암호화폐를 포트폴리오 다각화 수단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에스와르 프라사드는 규제 완화가 투자자 보호를 약화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2000억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특히 우려된다. 대규모 환매 사태가 발생하면 전통 금융시장까지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머니마켓펀드 대량 환매 사태가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진 사례가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와 연동되어 있어 대규모 환매 시 채권시장 등 전통 금융시장에 즉각적 충격을 줄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암호화폐의 정체성 변화다. 정부 감시를 벗어나고자 했던 암호화폐가 오히려 정부 인정을 추구하는 모습은 역설적이다. 이는 디지털 자산의 본질과 미래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제기한다. 비트코인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중앙은행과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난 대안 화폐를 표방했다. 그러나 지금은 오히려 정부의 승인과 제도권 편입을 통해 가치를 인정받으려 하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가 혁신적 이상보다 현실적 성장을 선택했음을 의미한다.
국제 정책 조율도 과제다. EU는 2025년 새로운 규제안 시행을 앞두고 있어, 미국과의 정책 조화가 필요하다. 중국과의 디지털 화폐 패권경쟁도 예상된다. EU의 규제안은 투자자 보호와 자금세탁 방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미국의 시장 친화적 접근과 차이가 있다. 중국은 이미 디지털 위안화를 통해 독자적인 디지털 화폐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어, 글로벌 디지털 금융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다. 세계 주요 암호화폐 거래국으로서, 미국의 정책 변화는 국내 시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정부는 글로벌 흐름에 참여하면서도 투자자 보호와 시스템 안정성 확보라는 두 축을 지켜야 한다.
트럼프 시대의 암호화폐는 기회와 도전이 공존하는 새 국면으로 들어서고 있다. 제도권 진입은 시장 성장을 촉진하지만, 금융시스템과의 연계 강화는 새로운 위험을 수반한다. 건전한 시장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 업계, 투자자 모두의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