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업비트 다운로드하면 500 클레이 증정? 스캠 사이트 '주의보'

글로벌이코노믹

업비트 다운로드하면 500 클레이 증정? 스캠 사이트 '주의보'

업비트 사칭 불법 광고가 여전히 목격되고 있다. 사진=페이스북 화면 캡처이미지 확대보기
업비트 사칭 불법 광고가 여전히 목격되고 있다. 사진=페이스북 화면 캡처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사칭하는 불법 사이트가 끊임없이 적발되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에서 업비트를 사칭한 불법 사이트가 여전히 노출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를 요한다.

17일 페이스북에 노출된 가상자산 거래소 광고는 그나마 엉성하게 제작돼 투자 경험이 풍부한 이들은 속지 않을 듯하다. 해당 광고는 '거래 수수료 0%', '지금 다운로드하여 500KLAY 보너스를 받으세요' 등의 문구가 적혀 있다.

현재 업비트는 원화마켓 일반 주문 시 0.05%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저렴하지만 공짜는 아니다. 해당 광고는 수수료가 없는 것으로 표기하며 초보 투자자들을 현혹하고 있다.

또, 다운로드 시 500KLAY(클레이) 코인을 증정한다고 돼 있지만 클레이는 이제 존재하지 않는 코인이다. 클레이 코인 발행사 클레이튼 재단은 지난해 8월 말 네이버 산하인 라인테크플러스가 개발한 블록체인 핀시아(FNSA)와 재단을 통합하고 새로운 블록체인 카이아(KAIA)를 선보였다. 때문에 이 또한 거짓이다.
업비트 사칭 스캠 사이트. 엉성한 화면이지만 언뜻 비슷해 보인다. '다운로드' 창을 누르면 해킹당할 공산이 크다. 이미지 확대보기
업비트 사칭 스캠 사이트. 엉성한 화면이지만 언뜻 비슷해 보인다. '다운로드' 창을 누르면 해킹당할 공산이 크다.

17일 캡처한 업비트 웹 화면. 스캠 사이트와 폰트나 정보량 등에서 차이가 난다. 사진=업비트 사이트 화면 캡처이미지 확대보기
17일 캡처한 업비트 웹 화면. 스캠 사이트와 폰트나 정보량 등에서 차이가 난다. 사진=업비트 사이트 화면 캡처


광고 속 화면을 클릭해 보면 업비트 PC 웹 화면과 비슷한 화면이 나타난다. 그런데 업비트 뿐만 아니라 주요 웹 사이트에서 사용하지 않는 궁서체 폰트다. 화면 가운데에는 '다운로드' 창이 두드러져 있다.

자칫 스캠 사이트에서 회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다운로드 창을 누를 경우 거래소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털릴 수 있다. 혹은 PC에 불법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어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해당 스캠 사이트에 대해 업비트 관계자는 더욱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 업비트 관계자는 "업비트를 사칭하여 특정 디지털 자산 이벤트를 진행한다는 명목으로 디지털 자산 입금을 유도하거나 피싱 사이트로 접속 및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방식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라며 "업비트는 사칭 계정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발견 시 유관 기관을 통해 조치하고 있습니다. 건강하고 안전한 디지털 자산 시장을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