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제조업, ‘질적 성장’ 실패…‘3중고’ 직면

글로벌이코노믹

종합

공유
0

제조업, ‘질적 성장’ 실패…‘3중고’ 직면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정선 기자]

우리나라 전 산업 부가가치에서 30%를 점유하고 있는 제조업이 질적 성장에는 실패한 것으로 분석됐다.
양적 성장에는 성공했지만 질적 성장은 실패했다는 것이다.

17일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한국 산업의 발전 잠재력과 구조 전환 방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업의 부가가치율은 25.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평균인 3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가치율은 총생산에서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율로 한 산업의 노동 생산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우리나라는 반도체·통신기기, 조선해양·디스플레이, 석유화학, 자동차·가공공작기계·철강 등의 세계적인 기업이 다수 있지만, 산업 생태계가 취약해 부가가치 창출 역량이 함께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연구원은 "중국 제조업이 부상하면서 우리나라는 철강, 조선, 자동차와 같은 주력 제조업에서 이미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고 있다"며 "중국이 '중국 제조 2025'로 대표되는 첨단 산업 육성에 집중하면서 반도체와 같은 주력 산업과의 중복성이 높아 중·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생산과 수출 측면에서 제품 구조 고도화가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하드웨어·제조 경쟁력은 확보했지만, 대내외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서비스 융합 역량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또 산업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첨단소재-정밀부품-고기능제품-핵심장비'로 이어지는 산업 생태계가 취약, 지속 성장이 저해되고 있다고 했다.

생산 측면에서도 상위 10대 산업이 전체 수출과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0%이며 수출에서는 대기업 비중이 80%에 달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의 경우 국산 중간재 투입 비율도 낮아 해외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이밖에 인건비 상승, 내수시장 제약, 인력 수급 애로, 낮은 생산성 등도 국내 생산 조건을 악화시킨 요인으로 꼽았다.

연구원은 "양적 규모 확대에만 주력하는 바람에 제품 구조를 고도화하거나 수요 변화 트렌드에 대응하는 제품군을 다양하게 확보하는 데는 미흡했다"며 "그 결과 선진국과의 기술·품질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지 못해 세계 경기에 취약한 교역 구조를 갖게 됐으며 대중 수출 정체, 주요 시장에서의 수출 확대 제약 심화, 내수에서의 수입 비중 증가 등 3중고에 직면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정선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