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헬스칼럼] 스테로이드 연고 때문에 '주사질환' 생겼다

글로벌이코노믹

[헬스칼럼] 스테로이드 연고 때문에 '주사질환' 생겼다

▲김방순에스앤유김방순피부과원장이미지 확대보기
▲김방순에스앤유김방순피부과원장
[글로벌이코노믹 김방순 에스앤유 김방순피부과 원장] 추운 겨울이면 얼굴이 빨개지는 안면홍조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 안면홍조는 다른 사람보다 얼굴이 더 쉽고, 심하게 빨갛게 되고, 더 오랫동안 빨간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얼굴이 빨개지는 것은 피부 속 혈관 때문이다. 피부 속 혈관은 자율신경의 조절을 받아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데 여러 원인으로 자율신경이 자극을 받아 혈관을 늘어나게 해 혈류가 높아지면서 얼굴이 빨개지는 것이다.

이러한 안면홍조는 방치해 증상이 악화되면 주사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주사질환은 생소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실제로 주사의 발생빈도는 40명 중 1명꼴로 발생할 만큼 비교적 흔한 편이다. 또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딸기코’는 대표적인 주사질환 증상으로 주사 말기에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주사는 항상 술을 마신 듯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르고 화끈거리는 증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여드름과 비슷한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염증이 심해지면 피부가 울퉁불퉁해지기도 한다.

주사질환이 생기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유전적 소인, 혈관의 취약성, 호르몬, 비타민 결핍, 세균감염,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들이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루성 피부염이나 접촉성 피부염 등에 흔히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제제 연고로 인해 주사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스테로이드 연고는 우리 몸 안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부신피질호르몬) 또는 그 유사체로 강력한 소염 기능 때문에 염증과 관련된 아토피, 습진,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등 다양한 피부질환에 흔히 사용한다.

그런데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장기간 남용하면 오히려 피부질환을 유발, 악화시킬 수 있는데 주사질환도 그중 하나다. 부신피질호르몬은 강력한 소염 기능 때문에 급성으로 생긴 구진이나 농포 등의 염증 증상에 효과가 높지만 장기간 바를 경우 내성이 생기기 쉽다. 내성이 생기면 스테로이드 연고를 더욱 자주 바르게 되는데 이 과정이 반복되면 피부가 얇아지고, 여드름이나 모낭염이 생기거나 털이 굵어지며, 무엇보다 피부 속 실핏줄이 늘어나 주사질환이 악화되는 이른바 ‘스테로이드 주사’가 생길 수 있다.
실제로 본인에게 주사질환이 있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스테로이드 연고를 장기간 사용하다 증상이 악화되는 환자가 많다. 따라서 얼굴이 자주 빨개지면서 화끈거리고, 여드름과 비슷한 염증이 잦다면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 전 정확한 피부과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미 스테로이드 연고로 인해 주사질환이 악화된 경우라면 적극적인 주사질환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일단 스테로이드 연고를 끊어야 한다. 그런데 스테로이드 연고를 끊고 처음 1~2주간은 증상이 호전되는 것이 아니라 전보다 더 악화된다. 이에 대부분의 환자들이 겁을 내 다시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하다 갑자기 중단해 나타나는 일종의 금단증상이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스테로이드 연고를 서서히 줄이면서 치료를 해야 한다.

더불어 한 번 늘어난 혈관을 다시 정상으로 되돌리기는 어렵기 때문에 주사질환은 꾸준한 인내를 가지고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주사질환은 내복제와 연고제를 병행하는 약물치료를 한다. 주사 초기 증세에는 약물치료만으로도 호전이 가능하지만 이미 증상이 많이 심해진 상태라면 IPL과 같은 레이저 시술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IPL은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약으로 치료되지 않는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혈관도 치료할 수 있다.

/글로벌이코노믹 김방순 에스앤유 김방순피부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