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빚 상환 능력 '불량'...저소득층 "직격탄'

공유
0

빚 상환 능력 '불량'...저소득층 "직격탄'

대출 상환능력 떨어진 '불량 대출자' 한해 80만명 속출
가계 소득↓, 빚 갚을 능력↓...최소 가능 가계 지출도 '헐떡'
저소득층 하위 20% 1분위 가구, 전체 부실가구 52.2% 차지
[글로벌이코노믹=김재현기자] 가계부채의 위험수위가 도를 넘어섰다. 은행에서 빚을 낸 대출자들이 빚을 갚은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신용불량자로 내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빚을 갚지 못하는 이들을 이른바 '불량 대출자'로서 한해 80만명이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소득이 적은 저신용층이 불량 대출자와의 경계선을 위태롭게 넘나들면서 10명 중 2명 꼴로 늘어나고 있다.

16일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가계대출자 1667만6000명의 불량률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4.78%였다. 불량률이란 최근 1년간 채무 불이행으로 은행연합회에 통보되거나 3개월 넘게 원리금 상환을 연체한 대출자의 비율을 말한다.

총 가계대출자의 불량률을 따져보면 한해 79만7000명이 생겼다는 것이다.

불량률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저소득자의 신용도 하위등급(7~10등급)은 약 18%의 불량률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반해 고소득자 위주의 상위등급(1~3등급) 불량률 1%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하위등급의 대출 불량률은 작년 3월(16%)에 비해 1년만에 2%p가 상승했다.
이같이 불량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가계 소득이 줄어들어 빚 상환능력 뿐만 아니라 최소 생활 지출도 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김건우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금리, 소득, 자산가격 등을 꼽을 수 있다"며 "경기위축으로 소득 증가세가 둔화되고 부동산 중심으로 자산가격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은 부채상환능력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이 된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유럽재정위기의 확산 등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 속에서 가계소득이 급감하너가 자산가격이 급락할 경우 부채상환능력이 급격히 취약해지는 가계가 급증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해야 한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금융부채 보유 가계 중 28%가 마이너스 가계마진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가구가 보유한 가계부채는 전체의 31.5%를 차지한다.

다행히 가계부채가 올 들어 뚜렷하게 증가 폭을 줄여나고 있어 다행이지만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그 반대다.

5월까지 은행을 비롯한 예금취급기관으로부터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3조1000억원에 그쳐 작년 같은 기간의 15조6000억원에 비해 급감했다.

하지만 연체율은 작년 내내 0.6~0.7%대에 머물던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올들어 꾸준한 오름세를 나타내 지난 5월에는 0.97%까지 높아졌다.

특히 저소득 가구가 부실가구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득수준이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가구가 전체 부실가구의 52.2%를 차지한다. 2분기 가구 비중은 32.7%, 3분위 가구의 비주은 9.5% 수준이다. 4, 5분위 가구는 각각 5.1%, 0.5%를 차지하고 있다.

부채 규모로 보면 1분위에 해당하는 저소득 부실가구의 부채가 전체 부실가구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8.1%로서 가장 높다.

김 연구원은 "부동산시장의 침체가 가계부실을 확대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면서 "부채부담을 느끼는 가계는 자산가격 하락→소비위축→경기침체→자산가격 하락이라는 악순환이 발생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