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제약업계, 빅파마공세 차별화로 극복

공유
0

제약업계, 빅파마공세 차별화로 극복

다국적사들 오리지날·제네릭 공세… “M&A통한 규모의 경제 확대를” 제안

[글로벌이코노믹=강은희 기자] 현재 국내 제약산업은 급박한 변화의 기로에 놓여 있으며, 자구책 마련 없이는 다국적 제약사의 오리지날 및 제네릭 공세를 버티기 어려울 전망이다.
향후 국내시장에서도 빅파마(다국적제약사) 및 인도 제약사의 제네릭공세가 확대될 예정이어서 국내 제약사가 제품의 다변화·차별화 없이는 생존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각에선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 악화를 우려해 제네릭과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날의약품의 가격을 인하했지만, 이는 다국적 제약사의 시장장악력을 키워 추후에 약가가 오히려 인상되는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다국적제약사의 특허만료 오리지날의약품과 국내 제약사의 제네릭 간 가격차가 줄어들면서 특허만료 오리지날에 대한 처방 동인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형 제약사와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전략도 유효할 것이란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시장에서의 투자유치가 어려운 경우 선진국은 혁신적 바이오기업은 대형제약사로부터 R&D 자금을 조달하는 경향이 있다.

노바티스, 화이자, 사노피 등은 CVC(기업벤처캐피털)를 조성, 국내 대학·벤처·제약사 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신약후보물질에 대해 모니터링 중이다. 현재 국내 제약사가 처한 환경과 국내 재무적 투자자 성향을 고려했을 때 국내 제약사와 다국적 제약사 간 대형 M&A는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국내 제약산업의 구조조정은 수년전부터 예상됐으나, 약가인하가 실시된 지금도 시장에서의 M&A 신호는 아직까지 미약한 편이다. 바이오·제약 분야에 대한 투자 경험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국내 재무적 투자자에 의한 M&A 활성화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국내 제약사는 그동안 제네릭에 지나치게 의존한 나머지 글로벌 신약개발에 대한 자신감을 축적하지 못했다. 의약품 수출을 위해서는 국내 보건당국의 판매허가 뿐 아니라 수입국가측의 판매허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타 제조업에 비해 높다.

또 신약의 허가를 위해서는 해당국가 환자 대상 임상시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한국정책금융공사 엄기현 책임연구원은 “우리나라 바이오·제약산업은 M&A를 통한 규모의 경제 확대와 다국적 바이오기업의 전문성을 따라잡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며 “국내 제약산업의 M&A는 약가인하 등의 규제로 인해 언급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뤄지려면 M&A펀드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