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메르스로 홍역 치른 백화점...2분기 실적 예상보다 ‘악화’

공유
1

메르스로 홍역 치른 백화점...2분기 실적 예상보다 ‘악화’

백화점 업계 스스로 다이내믹한 성장동력 갖춰야 지적도

신세계백화점(좌), 롯데백화점(우측 상단), 현대백화점(우측 하단)
신세계백화점(좌), 롯데백화점(우측 상단), 현대백화점(우측 하단)
[글로벌이코노믹 이세정 기자] 백화점 업계가 메르스로 한바탕 홍역을 치뤘기 때문에 올해 2분기 실적에 대해서는 그다지 기대하지 않는 분위기다. 백화점 업체들은 2분기 실적에 대해 공식 발표를 하지 않고 있지만 증권가에서는 백화점 업체들의 실적이 예상보다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은 롯데쇼핑(롯데백화점·롯데마트)의 2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같은기간보다 18% 정도 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KDB대우증권은 현대백화점의 2분기 매출 증가율이 0.4%에 그치고 영업이익은 7.4%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신세계의 매출과 영업이익 증감률이 각각 2.6%, -5.7%로 나타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증권사들이 서로 앞다투어 백화점 업계의 매출액이나 영업이익 증가율을 내려잡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실제로도 백화점 매출은 메르스로 인해 상당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6월 백화점 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9% 줄었고, 2분기 매출 또한 2.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자부는 메르스로 인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백화점 매출을 주 단위로 분석한 결과, 발병 초기인 5월 3∼4주에는 매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확산 우려가 높아진 6월 1∼2주 매출 감소가 컸다고 설명했다.

백화점들이 공시를 통해 밝힌 매출액도 산자부 조사와 대동소이하다.

신세계백화점은 올해 6월 매출은 274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064억원보다 10.4% 감소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신세계 측은 "올해 4~5월 총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8%증가했지만, 6월 총매출액은 메르스로 인한 집객 부진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신세계 뿐만 아니라 롯데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의 매출 또한 감소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6월에 비해 기존점포 기준 매출이 4.6%, 현대백화점은 4.2% 각각 줄어들었다.

백화점 업계 종사자는 “고정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는 신세계나 롯데, 현대백화점 등 유명 백화점 매출이 평균 6%대 역신장한 것을 감안하면 그 외 백화점들의 6월 매출액은 더욱 큰 폭으로 감소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형 백화점이 아닌 중소형 백화점의 경우 메르스로 인한 타격이 훨씬 클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백화점 업계의 성장동력이 지지부진한 것도 백화점 업계의 주가를 어둡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삼성증권 남옥진 연구원이 “신세계는 연말까지 경기변동 이외에 이 회사 자체 모멘텀은 없다”라고 꼬집은 것도 백화점 업계의 다이내믹한 요소가 예전에 비해 뒤떨어진 것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남 연구원은 그러나 “신세계는 4월~5월 회복세(2%)에는 못 미치지만 6월(-8%) 대비 매출은 정상화 단계”라며 “8월 이후 성장률은 4월~5월 수준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신세계는 저평가돼 있는 상태”라면서 “이러한 저평가는 2016년~2017년 점포확장을 통한 성장성 강화로 해소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백화점 업계의 또다른 고민은 지난달 일제히 여름 정기세일을 진행했지만 예년에 비해 소폭 상승하거나 비슷한 수준의 매출을 기록했다는 것. 대부분 업체가 메르스 여파로 지난해 여름 세일에 비해 약 2~3%(2013년 매출 기준)까지 신장률이 하락하는 부진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경기 불황이 장기화하며 소비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백화점 등 전통적인 오프라인 채널이 침체의 늪에 빠졌지만 온라인과 모바일 부문은 가파르게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현상도 부담이 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백화점의 판매액은 29조2000억원으로 2013년보다 1.9%인 6000억원이 되레 감소했다.

합리적인 소비 성향이 강해진 기존 소비자들이 온라인과 모바일, 해외 직구로 돌아서고 있고 백화점 업계는 이 같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세정 기자 sjl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