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토종 사모펀드 해부③] 투자자모집·운용 비공개… 손실나도 '깜깜이'

공유
1

[토종 사모펀드 해부③] 투자자모집·운용 비공개… 손실나도 '깜깜이'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대성 기자] 사모펀드(PEF)에 대한 대표적인 부정적인 시각으로는 론스타를 꼽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PEF는 싸게 기업을 사들여 먹튀하는 자본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사모펀드는 49인 이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비공개로 투자자들을 모집하고 비공개로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끌어들이기 때문에 자금을 내놓은 기관이나 개인은 구태여 출처를 밝히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모은 자금으로 자산가치가 저평가된 기업에 자본참여를 하고 기업가치를 높인 다음 기업주식을 되파는 전략을 취하고 있어 고수익기업투자펀드라고도 불리운다.

사모펀드는 비공개 운영이라는 특성상 펀드가 어느정도 수익을 냈는지 아니면 얼마나 손해를 봤는지 좀처럼 공개하지 않는다.

이는 사모펀드가 돈 많은 개인들의 자금을 유치하기에는 적격이나 국민연금과 같이 국민의 공적인 자금을 운영하는 기관투자자들의 자금을 유치할 때에는 가장 큰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펀드 설립 후 투자 대상을 고르는 블라인드 사모펀드에 대한 출자를 검토했으나 최근 백지화했다.

새마을금고는 블라인드 PEF 출자와 관련, 새마을금고의 관리·감독기관인 행정자치부로부터 승인을 얻지 못했다. 행정자원부가 PEF 투자 시 예상될 수 있는 부실을 우려해 블라인드 PEF 출자에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행정자원부는 새마을금고 자금의 대부분이 일반 서민들의 돈으로 충당되고 있어 PEF 투자시 고수익을 올릴 수 있지만 한편 투자위험이 크기 때문에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PEF가 론스타와 같이 언제나 큰 돈을 챙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토종 사모펀드 가운데 큰 돈을 번 PEF도 있지만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해 투자자들에게 적지 않은 고통을 준 사례도 적지 않다.

지난 2005년 한국형 PEF를 기치로 출범한 보고펀드는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 출신 변양호씨가 대표를 맡았다.

보고펀드는 2007년 KTB PE와 손잡고 SPC를 설립해 LG실트론 지분 49%를 인수한다. 당시 인수가는 7078억원이었는데 보고펀드는 이중 3분의 1 가량인 2250억원을 금융권 대출로 충당했다.

그러나 국제금융위기 등으로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2007년 3년 만기로 빌렸던 자금은 두 차례 연장을 거쳐야 했고 이 회사의 상장 지연으로 보고펀드는 대출금에 대한 이자인 47억원 조차 낼 수 없는 상황을 맞게 됐다.

결국 변 대표는 투자 실패를 선언했고 보고펀드는 사실상 해체수순을 밟았다. 손실 또한 투자자들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

홈플러스를 인수한 MBK파트너스 또한 C&M 투자에서 적지 않은 손실을 볼 것으로 증권가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지난 2008년 맥쿼리, 미래에셋 등과 함께 약 2조원 상당에 C&M을 인수했지만 그동안 IPTV 공세에 밀려 C&M의 성장성에 의문이 들면서 매각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금융감독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PEF의 보편적인 운용기간은 5~6년으로 투자자에게 투자수익 배당을 위한 재산매각(PEF 해산)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사모펀드 운용의 커다란 부담이 되고 있다.

MBK파트너스가 C&M을 매입한 해가 2008년을 감안하면 PEF 운용기간이 훨씬 넘어간 것으로 자체 매각 압력은 거세지고 있으나 외부 변수는 그다지 MBK파트너스에 유리한 편은 아니다.

사모펀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운용 실태가 제대로 공개되지 못하기 때문에 국민연금과 같은 공공 성격의 자금이 투입되었을 때 일반 국민들이 손실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지난 7일의 홈플러스 주식양수도 계약은 테스코와 MBK파트너스 컨소시엄(캐나다 연기금, 캐나다 공적연금, 테마섹 포함)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연금 자본 참여설은 계속 나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홈플러스 매각 합의자금은 MBK파트너스 측 주장 7조2000억원과 테스코 주장 7조6800억원과 상당한 차이가 벌어지고 있지만 제대로된 설명조차 없이 매각이 진행됐다.

김대성 기자 kimds@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