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
[당신이 몰랐던 구강청결제①] 소금물에서 가그린까지 ‘변천사’ [당신이 몰랐던 구강청결제②] 잇몸병 예방에 도움 된다? 상식 ‘A TO Z’ [당신이 몰랐던 구강청결제③] 이렇게 쓰는 게 좋아요 |
‘센스 있는’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구강청결제. 일상 생활과 가까워진 만큼 잘못된 정보는 피하고 적절한 사용법을 통해 청결과 건강을 모두 잡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구강청결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효과가 높지 않아 기계적인 방법(양치질, 치실 등)이 우선돼야 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하다. 그 외에 구강청결제 사용 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짚어보려고 한다. 전문가들은 장기간 사용은 피하고 치과 의사와 상담 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박명순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치과 임상조교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구강청결제를 장기간 꾸준하게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부작용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따라서 칫솔질이 힘들거나 기타 필요한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고 말했다.
이어 “치료 목적의 전문의약품에 속하는 구강양치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과 의사와 상담 후에 정확한 사용법을 숙지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평소에 정기적인 구강검사와 구강관리(올바른 칫솔질, 스케일링 등)을 통해 구강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태 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는 “구강청결제 중에서 장기적 사용을 할 때 치아의 착색이 이루어지는 제품이 있다”며 “물론 그 제품은 일반 마트 같은 곳에서 구입할 수 없는 것이므로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한지영 한양대학교병원 치과 교수 역시 “최근에 여러 가지 생약 성분이나 치면에 착색이 덜 생기는 구강청결제도 많이 개발돼 있어서 올바를 칫솔질과 함께 보조적으로 사용한다면 구강위생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아울러 구강청결제를 사용 후 바로 음료나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구강 내에 남은 구강청결제의 화학성분을 같이 섭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당연히 소량이라도 삼키는 것은 좋지 않다”며 “그래서 효과는 조금 떨어질지 모르지만 사용 후 물로 살짝 씻어 내는 것을 추천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잇몸병 예방에는 기계적인 치태제거가 가장 중요하고 구강청결제 보조적 사용이 입냄새 제거에 일시적인 효과가 있지만 입냄새의 근본을 치료해야 하므로 구강청결제에 너무 의지하는 것은 좋지 않다.
임소현 기자 ssosso667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