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②] 흑역사 지우기 나선 제약사들

공유
2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②] 흑역사 지우기 나선 제약사들

제약업계는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가 남긴 오명을 씻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시행하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제약업계는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가 남긴 오명을 씻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시행하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임소현 기자] 지난달 사상 최초로 의약품 리베이트를 제공한 제품에 대해 급여정지 처분이 실시됐다. 그간 의약품 리베이트를 근절하기 위해 2010년 ‘리베이트 쌍벌제’, 2014년 ‘리베이트 투아웃제’가 실시되는 등 대응을 강화해 왔지만 아직까지도 제약계는 불법 리베이트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일각에서는 리베이트로 볼 수 있는 이득에 비해 의약품 리베이트에 대한 처분이 너무 약해 처벌을 감수하고라도 리베이트를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제약사들은 리베이트라는 ‘흑역사’를 씻겠다며 윤리 경영을 선포하고 나섰지만 리베이트 적발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글로벌이코노믹에서는 제약사 불법 리베이트의 역사부터 오명을 씻기 위한 제약사들의 노력까지 3회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주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①] 오래된 제약계 흑역사, 언제부터?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②] 흑역사 지우기 나선 제약사들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③] 리베이트 근절, 방법은 없나

제약업계는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가 남긴 오명을 씻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시행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제약사의 공정거래자율준수프로그램(CP, Compliance Program)이다. CP는 기업들이 공정거래 관련 법규를 준수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제정, 운영하는 교육·감독 등 내부준법시스템이다. CP를 도입한 제약사들은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게 평가를 신청, CP 등급을 평가 받고 있다. CP등급이 우수한 AAA, AA, A등급 기업에게는 직권조사 면제, 공표명령 하향조정 등 각종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지난해 CP등급 평가에서는 종근당과 대웅제약이 AA등급을, 동화약품과 대원제약이 A 등급을 받았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평가에는 JW중외제약, 일동제약, CJ헬스케어, 녹십자, 현대약품, 영진약품, 코오롱제약 등이 CP 등급평가에 신규 도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제약계에는 리베이트가 남긴 부정적 이미지를 벗어나고자 하는 분위기가 만연한 상황이다. 특히 외부에서 진행되는 것이 아닌 ‘자정 작용’을 통해 이미지 쇄신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종근당, 동아에스티, 녹십자, 보령제약, 일동제약, JW중외제약, 현대약품 등 대다수의 제약사들은 이미 CP 전담 조직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대부분의 조직은 CEO 직속으로 운영된다.

아울러 이미 CP 등급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기업들은 기존 CP등급 평가가 아닌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새로운 평가를 받겠다고 나서기도 했다. 제약계가 얼마나 리베이트라는 이미지를 벗어나고 싶어 하는지 보여주는 움직임이다.

올해부터 공정위 CP 등급 평가를 받지 않겠다고 한 동아에스티 등 다수 제약사들이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ISO 37001 인증’ 기관에 문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기존 CP평가에서 상위 등급을 받은 제약사들이 계속 리베이트 사건에 연루되며 대외 신뢰도가 낮아진데다 국내 기관의 인증보다 다국적 제약사와 계약 시 더 유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CP준수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각 제약사들은 CP관련 교육 진행은 물론 CP준수 자체 평가를 통한 인사고과 반영, 인센티브 수여 등 다양한 각도로 CP 준수를 독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 역시 “리베이트라는 관행이 현재 거의 사라졌고 CP를 도입한 지 꽤 시간이 흘렀지만 아직 부정적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다”며 “CP를 계속해서 강화해나가는 방법만이 부정적 인식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소현 기자 ssosso667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