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유통업계 부는 ‘J노믹스’… 양보다 질이다

공유
0

[기자수첩] 유통업계 부는 ‘J노믹스’… 양보다 질이다

생활경제부 한지명 기자
생활경제부 한지명 기자
[글로벌이코노믹 한지명 기자] “정규직화하면 솔직히 부담되는 게 사실이죠. 용역을 비롯해 비정규직이 많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니까요.”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기관 ‘정규직 제로’를 공표한 뒤 한 유통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유통업계가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은 문재인 정부에 발맞추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엄살로만 느껴지지 않는 이유가 있다. 현재 유통업계는 간접고용을 포함한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40%로 높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대규모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면 인건비 부담이 커진다. 여기에 문재인 정부가 ‘골목상권 보호’를 강조하며 대형유통사를 겨냥한 규제정책을 전면에 내걸자 대형유통업체는 골목상권 보호 규제, 일자리 창출 등까지 겹쳐 부담이 가중됐다.

유통 대기업들은 ‘J노믹스’에 맞춰 정규직 전환 방침을 발표했다. 롯데그룹은 향후 3년간 비정규직 근로자 1만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5년간 7만명을 신규 채용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신동빈 롯데 회장은 지난해 10월 경영혁신안을 발표하고 향후 3년 동안 비정규직 1만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신세계그룹도 고용창출에 나섰다. 31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중소협력사와 함께하는 상생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 2015년 1만4000명, 지난해 1만5000명을 채용한 데 이어 올해도 1만5000명 규모의 신규채용에 나선다. 전체 채용인원의 90% 이상을 정규직으로 뽑을 예정이다.

홈플러스도 정규직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우수담당 선임 선발’이라는 공모절차를 수시로 진행해 선임 직급(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제도를 갖춘 홈플러스는 이를 통해 매년 400여 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 ‘보여주기 식’ 정규직 전환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주요 유통기업들은 이미 수년 전부터 무기 계약직 등의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비정규직 비율은 외견상 낮다.

문제는 처우다. 무기 계약직은 사실상 정규직과 유사한 근무 여건에서 근무하면서도 임금 인상이나 승진에서 열악하다. 또 외부 용역업체 직원 등 여전히 정규직의 울타리에 포함되지 못한 ‘사각지대’에 대한 해법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양질의 일자리를 모색해야 한다. 일자리 정책이 일자리를 늘리는 것을 모토로 하지만, 결과적으로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나야만 일자리 정책의 궁극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이다. 업계가 힘을 모아 일할 맛 나는 일자리를 창출해야 할 때다.

한지명 기자 yol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