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文 정부, 태양광 확대에도 업계 표정 '울상'인 이유는?

공유
2

文 정부, 태양광 확대에도 업계 표정 '울상'인 이유는?

한화큐셀 USA가 2014년 6월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메이우드 지역에 조성한 태양광 발전소. 이미지 확대보기
한화큐셀 USA가 2014년 6월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메이우드 지역에 조성한 태양광 발전소.
[글로벌이코노믹 오소영 기자] 문재인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확대하면서 태양광 시장이 호황을 맞았으나 업계 표정은 그리 밝지 못하다. 내수보다 수출 비중이 높은 데다 주요 시장인 중국이 반덤핑 관세 부과를, 미국이 수입제한조치를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로 높이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지난 11일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력정책심의위원회가 공개한 8차 전력수급 설비계획 초안을 보면,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올해 17.2GW(기가와트) 수준인 신재생 발전량이 2030년 62.6GW까지 늘어난다. 이중 태양광과 풍력은 7.0GW에서 48.6GW로 증가한다.

이처럼 문재인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려 하나 정작 태양광 업계의 기대감은 높지 않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태양광 셀과 모듈 생산 규모는 올해 말 기준 총 6.8GW 정도인데 국내는 1GW 정도로 낮다”며 “국내 비중이 10% 안팎으로 크지 않아 새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추진하더라도 수익이 눈에 띄게 늘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OCI의 경우 태양광 발전 사업인 에너지솔루션 부문의 올해 2분기 내수(1600만원)의 매출이 수출(27억9100만원)의 0.5%에 그친다.

김상구 키움증권 연구원은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어 글로벌 수요가 얼마나 늘어나느냐가 수익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히려 주요 시장인 중국의 악재가 태양광 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한국산 수입 폴리실리콘에 대한 반덤핑 관세 재조사에 착수했다. 폴리실리콘은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작은 실리콘 결정체 물질로 국내에선 OCI와 한화케미칼 등이 주로 생산하고 있다.
재조사가 이뤄지면 기존 관세율은 업체의 실적에 따라 조정된다. OCI는 2011년 조사 당시 2.4%, 한화케미칼은 12.3%의 관세를 부과받은 바 있다.

중국 정부가 관세를 부가하기로 최종 결정할 경우 국내 업체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국내 최대 폴리실리콘 생산 업체인 OCI는 전체 생산량(연간 5만2000t)의 60%를, 한화케미칼은 전체 생산량(연간 1만5000t)의 70%를 수출하고 있다.

OCI 관계자는 “중국 비중도 높지만 최근 폴리실리콘 가격이 손익분기점에서 형성된 상황이어서 관세가 부과되면 그 비율이 적더라도 매출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폴리실리콘 가격의 손익분기점을 1kg당 14~15달러로 본다. PV인사이트에 따르면 8월 둘째 주 폴리실리콘 거래 가격은 kg당 15.55달러이다. 이달 첫 주 가격은 15.34달러였다.

아울러 미국은 지난 5월 한국과 중국 등 외국산 태양광전지와 패널에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세이프가드는 특정품목의 수입급증으로 미국 해당 산업에 상당한 피해를 봤거나 피해가 우려될 때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량을 제한하는 조치이다.

미국 무역위원회는 오는 9월22일까지 미국 태양광 산업이 피해를 봤는지 판정하고 11월 13일까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제출하게 된다. 미국은 2001년 이후 15년간 태양광 시장에 대해 세이프가드 조사를 개시한 사례가 없으나 트럼프 행정부가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고 있어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거라 단정 지을 수 없다.

특히 미국은 한국의 태양광 에너지(패널·전지) 수출 2위 국가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의 미국 수출액은 올해 6월 9941만5000달러(약 1130억원)로 5월(7722만1000달러) 대비 약 28% 늘었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수입제한조치가 확정되면 매출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며 “다만 미국의 수출 비중이 지난해 전체 생산량(5.7GW)의 30% 정도를 차지하는데 대형 계약 건들이 끝나면 수출 비중이 감소해 영향이 줄 수 있다”고 밝혔다.

한화큐셀은 지난 1월 미국 2위 전력기업 넥스트에라(NextEra)와 태양광 모듈 공급 계약을 체결했었다. 모듈 공급 규모는 1.4GW 이상으로 추정된다.


오소영 기자 o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