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포스트 시진핑은 없다"…19차 당 대회서 시진핑 권력 한층 강화 예상

공유
0

"포스트 시진핑은 없다"…19차 당 대회서 시진핑 권력 한층 강화 예상

중국 내에서 천민얼이 시 주석의 후계자라는 표현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포스트 시진핑은 오직 시진핑 밖에 없다는 문구가 맞는 표현이다. 자료=중공국방부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내에서 천민얼이 시 주석의 후계자라는 표현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포스트 시진핑은 오직 시진핑 밖에 없다"는 문구가 맞는 표현이다. 자료=중공국방부
[글로벌이코노믹 김길수 기자]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올 가을에 예고되어 있던 '중국 공산당 제19기 전국대표회의'를 10월 18일 베이징에서 시작한다고 전하자, 전 세계는 연일 "중국의 정치 방향이 곧 밝혀질지도 모른다"는 소식에 들떠 있다.

하지만 사실상 모든 방향은 이미 정해진 방향대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굳이 새로운 방향이 설정될 것은 없다. 5년에 한번 개최되는 이번 당 대회는 중국 공산당 중앙총서기 시진핑 주석의 주재 하에 진행되어 최고 지도부의 교체는 시 주석의 의도를 가장 잘 반영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번 19차 당 대회를 통해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에 누가 떠나고 누가 들어가는지는 그리 중요하지 않게 됐다. 기존 시각에서 보면 충칭 시 서기 천민얼(陈敏尔)이 내정되어 있는 것으로 예상되지만 후계자라는 표현을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발언이다.

중국 외의 해외 매체들은 이에 대해 '포스트 시진핑'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내부에서 천민얼이 시 주석의 후계자라는 표현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포스트 시진핑은 오직 시진핑 밖에 없다"는 문구가 국민 의식과 현실을 반영했을 때 꼭 맞는 표현이다.

향후 임명되는 상무위원의 자리를 예전과 같이 생각해서는 안 된다. 과거 중국은 '일곱 용이 지배하는 곳'이라는 표현이 어울렸다. 이는 상무위원 7명이 정치와 경제, 군사, 치안, 사회, 문화 등 분야에 대한 통제권을 골고루 나눠가졌을 때 비로소 성립되는 문구다.

그러나 시 주석은 지난 5년간의 통치 여정을 통해 이미 역대 어느 지도자보다 절대 권력을 확보했다. 집권 전부터 실천했던 '부패척결'로 중국인을 하나로 뭉치게 한 것은 물론 완벽히 군권을 장악해 '핵심 지도자'로서 추앙받고 있으며, 중국 내 대부분의 매체로부터 존경의 대상으로 다뤄지고 있다.

또한 공직 계통과 기업의 비리 단속 강화로 라이벌의 권력 기반은 약화됐으며, 이는 마오쩌둥 시대와 같은 개인숭배를 강요하지 않으면서도 중국 인민들로부터 자연스럽게 지도자의 임기에 대한 의식을 옅어지게 만들었다. 따라서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권한과 책임은 과거에 비해 유명무실해졌다.

결국 이러한 중국 내부의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 국제적인 시각에서 그리 문제 삼을 필요가 없어졌다. 오히려 중국 경제가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될 것인지에 대한 염려와 해외 투자자와 기업들에게 어떠한 영향이 미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세계의 관심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중국이 더 개발을 할 것인가?"와 "향후 성장 속도는 어떨까?", 그리고 "지방정부와 기업들이 안고 있는 채무를 조정할 수 있느냐?"는 문제다. 그리고 답변 중 일부는 이미 명백한 논리로 풀이할 수 있다.

중국 정부는 해외 자본은 선호하지만 해외 기업과의 경쟁은 원하지 않고 있으며, 무역과 세계화는 추구하지만 그것도 자신이 원하는 생각 방식을 맞추어야 한다는 조건이 우선한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올해 중국의 경제 성장률을 6.6%로 예상하지만, 중국의 현 경제 수준을 감안할 때 이정도의 성장 둔화는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수치다. 중국이 걱정하지 않는데 굳이 외부인이 나서서 근심어린 눈초리를 보낼 필요는 없다.

오히려 과감한 경제 개혁으로 인한 부작용을 통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지방 정부와 기업의 부채에 대해 걱정하는 편이 옳다. 세계 각처의 관련국이나 동업자들의 손실로 이어질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한가지 명확한 사실은 "시진핑 국가주석은 리커창 총리보다 경제적 자유가 아니라 통제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터넷 쇄국정책이나 기업들의 해외 투자를 규제하는 정책을 통해 이미 증명됐다. 향후 중국이 글로벌 시장 원리를 따르거나 해외 기업 활동의 장을 확대할 전망은 작지만 시 주석의 지배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