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서울·수도권 ‘쑥쑥’, 지방 ‘뚝뚝’… 양극화 심화

공유
1

서울·수도권 ‘쑥쑥’, 지방 ‘뚝뚝’… 양극화 심화

경기도 일산의 한 견본주택에 몰린 내방객들.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 일산의 한 견본주택에 몰린 내방객들.

‘서울불패’, ‘강남불패’

올해 부동산 시장을 지배했던 인식이다. 새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에 과열양상을 보이던 시장은 전체적으로 다소 누그러졌지만, 서울 강남권 등 인기지역은 여전히 집값이 상승하는 반면 지방을 중심으로 집값이 추락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 5월 새 정부가 들어서고 집값은 크게 오르기 시작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0.05%를 기록하던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은 8월 0.24%까지 치솟았다.

주택가격을 끌어올린 것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였다. 재건축 시장을 중심으로 주변 아파트값도 덩달아 오르기 시작했다. 시장 과열양상에 정부는 청약 조정대상지역에 한해 대출을 규제하고 전매제한 기간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6·19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시작된 집값 상승곡선은 좀처럼 꺾이지 않았다. 정부는 역대 가장 강도 높은 규제로 꼽히는 ‘8·2대책’ 카드를 꺼내들었다. 청약 1순위 요건을 강화하고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 지역에 대한 규제 강화 등을 내세워 집값 잡기에 나섰다.

서울 전역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됐고, 강남권 등 투자금이 몰리기 시작한 지역들은 투기지역으로 중복 지정됐다. 강남을 중심으로 한 집값 상승세는 주춤했다.

정부는 이후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신(新)DTI(새 총부채상환비율)를 통한 다주택자 대출규제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이어 주거복지로드맵으로 신혼부부 등 실수요자를 위한 복지도 마련했다. 강남을 중심으로 서울 집값이 다시 상승세에 접어든 것은 이 시점이었다.

연이은 강력 규제에도 수요가 풍부한 서울 시장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지방 시장은 연이은 하락세에 시름시름 앓았다.

지난해 12월 대비 경북(-3.80%)과 경남(-3.45%), 충남(-2.45%), 충북(-1.85%), 울산(-1.97%)의 아파트값은 하락했다. 광주와 대구, 전남, 세종 등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전체적으로 시장은 침체되는 분위기다.

수요가 풍부한 서울·수도권과 달리 공급과잉에 시달리는 지방 부동산 시장은 위태위태하다. 청약시장 수요는 여전하지만 실 계약률은 떨어지면서 미분양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기존 미분양 단지와 맞물려 공급 과잉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매물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 서울은 어떨지 몰라도 지방은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지방) 부동산 시장은 얼어붙고 있다"고 전했다. 수요 중심 시장의 균형이 깨지기 시작한 것이다.

수도권 부동산 관계자는 “내년에도 강남을 중심으로 공급자 중심인 서울권 주택 가격은 계속 오를 것”이라면서 “지방에 투자를 하던 자본들이 빠져나가면 지방 부동산 경기는 더욱 침체될지 모른다”고 전했다.


백승재 기자 tequiro071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