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자기자본 8조원 늘린 미래에셋대우 ... 발행어음 대신 IMA로 노선 변경?

공유
1

자기자본 8조원 늘린 미래에셋대우 ... 발행어음 대신 IMA로 노선 변경?

선점효과 노렸지만... 조달 자금 70%이상 기업금융 투입 조건... 리스크 大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손현지 기자] 미래에셋대우가 초대형 IB사업을 위한 질주를 가하고 있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대우는 7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확정짓고 자기자본 8조원대 증권사로 우뚝서게 된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9월까지만 해도 자기자본 7조3300억원 수준에 이르던 증권사가 몸집을 8조원에 맞춰 부풀린 이유를 IMA사업에서 찾고 있다.
IMA(종합투자계좌)란 고객으로부터 예탁받은 자금 통합하여 기업금융자산등에 운용하고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설한 계좌를 뜻한다. 해당업무를 통해 증권사는 고객에게 원금을 보장해주면서 은행 금리 이상의 수익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계좌를 제공할 수 있다. IMA는 높은 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발행어음 사업과 함께 초대형 IB의 핵심사업 중 하나로 꼽힌다.

금융위원회의 기준에 따르면 자기자본 3조원 이상(금융투자사업자), 4조원 이상(발행어음, 기업환전 등 외국환 업무 허용), 8조원 이상 (종합투자계좌 업무, 부동산담보신탁) 등 단계별로 허용하는 사업이 다르다. 따라서 IMA(종합투자계좌)업무는 일명 초대형IB의 3단계 사업이라고 부를 수 있다. 발행어음 사업과 달리 금융당국의 별도 인가 없이도 관련 업무에 착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증권사가 사전 약정에 따라 투자자에게 원금과 수익을 돌려줘야 한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높은 상품을 다룬다.

금융업계에서는 미래에셋대우가 바로 2단계 대신 3단계로 진입하려는 것에 대해 순탄치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2단계인 발행어음 인가도 만만치 않아 아직 초대형IB로서의 역할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금융위원회가 총 5곳의 증권사를 초대형IB로 지정했지만 막상 발행어음 사업 인가를 내준 곳은 한국투자증권 1곳에 그쳤다.

미래에셋대우는 지난 11월 말 유로에셋투자자문의 옵션상품을 불완전판매했다는 이유로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에서 '기관주의' 조치를 받았다. 이어 공정거래위원회의 계열사간 '내부거래'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는 등 악재가 겹치면서 발해어음 사업에 대한 인가 심사가 보류된 상태다. 현재 미래에셋금융그룹은 미래에셋컨설팅과 그 계열사에 일감을 밀어줬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미래에셋컨설팅의 내부거래 비중은 12%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공정거래법에선 내부거래 총액이 200억원 이상이거나 내부거래 비중이 12% 이상인 그룹을 규제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의 발행어음 인가 심사 보류 결정 직후 돌파구의 일환으로 증자를 결정할 수 밖에 없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지난 15일 긴급 이사회를 열어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우선주 1억3084만2000주를 발행하는 유상증자안을 결의했다. 증자 주관사도 정하지 않은 채 공시할 만큼 긴급한 결정이었다.

게다가 금융당국은 초대형 IB사업의 취지에 맞게 단계별로 진행하라는 지침을 뒤로 한채 IMA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리스크가 크다고 지적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초대형IB 사업은 국내에서는 초기 단계인 만큼 단계적인 업무에 돌입하는게 바람직하다"며 "미래에셋대우가 발행어음 사업도 제대로 시작하지 않고 바로 IMA사업에 돌입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자격 여부 판단에 대해선 정해진 게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증권가에도 미래에셋대우의 행보에 대해 우려에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달 15일 운영자금 7000억원을 조달하기 위해 기타주 1억384만2000주를 발행한다고 결정하자 주가가 급락하기도 했다. 대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하는 만큼 큰 리스크가 뒤따른다는 전망이다.

김고은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IMA 사업은 운용자산의 70% 이상을 기업금융자산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조달 자금의 50% 이상만 기업금융에 투입하도록하는 발행어음과 달리 더 공격적인 투자가 이뤄져야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발행어음은 자기자본의 두 배까지만 발행이 가능하지만 IMA의 발행한도는 제한이 없다"며 "원금을 증권사가 보장해야 하므로 운용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증권사가 엄청난 리스크를 떠안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강승건 대신증권 연구원은 "수익률의 수준에 따라 ROE하락이 나타날 수 있다"며 "기존 2018년과 2019년 예상 ROE인 6.8%와 6.7%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규조달 자본의 9% 수준의 투자수익을 시현해야 하지만 미래에셋대우의 경우 기존 사업의 ROE가 7%수준에 그친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도 "미래에셋대우는 이번 유상증자가 국내외 부동산 투자와 해외사업 강화 등을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며 "그러나 발행어음 인가가 난관에 처한 상황에서 초대형IB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방편으로 해석되는 상황이라 투자자들이 낙관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유상증자는 해외글로벌투자를 위한 밑거름일 뿐 초대형 IB사업과는 무관하다"며 "공교롭게도 공정위에서 내부조사를 하고 있는 시기와 해외투자 추진시기가 겹쳤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IMA사업 기준인 자기자본 8조원의 규정을 충족시킨다해도 이행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손현지 기자 hyunji@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