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보잉, 'SR-71' 후속 초음속기 개발 박차... 마하 5로 비행 정찰기 '선 오브 블랙버드' 콘셉트 모델 발표

공유
7

美 보잉, 'SR-71' 후속 초음속기 개발 박차... 마하 5로 비행 정찰기 '선 오브 블랙버드' 콘셉트 모델 발표

2004년 마하 9.68 달성한 시험기 ‘X-43’과 후속기 ‘X-51A’ 토대로 기체 구상

보잉이 마하5로 비행할 수 있는 초음속기 '선 오브 블랙버드(Son of Blackbird)'의 구상과 콘셉트 모델을 발표했다. 자료=보잉이미지 확대보기
보잉이 마하5로 비행할 수 있는 초음속기 '선 오브 블랙버드(Son of Blackbird)'의 구상과 콘셉트 모델을 발표했다. 자료=보잉
[글로벌이코노믹 김길수 기자] 미국 공군에서 운용되고 있던 록히드 마틴의 초음속 고고도 전략 정찰기 'SR-71 블랙버드'의 후속 기종으로, 보잉이 마하5로 비행할 수 있는 초음속기 '선 오브 블랙버드(Son of Blackbird)'의 구상과 콘셉트 모델을 발표했다.

미국 항공우주학회가 개최하는 포럼 'SciTech'에서 발표된 콘셉트 모델은 최고 시속 마하5로 SR-71의 마하3을 훨씬 능가한다. 시속 약 6000㎞로 비행하는 것을 전제로 구상이 가다듬어 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체 외부를 살펴보면 날카롭고 뾰족한 기수에 표면은 매끄러운 곡선이다. 이는 초음속 비행 시 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단열 압축에 의한 기체의 과열을 최소화하고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 '스텔스 기술'을 높이기 위해서다.

또 기체 바닥은 평면 형상으로 다소 변칙적인 델타형 날개를 가졌다. 평평한 바닥은 초음속 비행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파로 양력을 얻을 수 있는 형상이다. 이러한 유형의 항공기는 충격파의 파도를 탄다는 의미에서 '웨이브 라이더'라고 부른다.

바닥에 크게 튀어나온 공기 흡입구에 2기의 스크램제트 엔진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동력원으로 제트엔진과 함께 초음속 비행에 적합한 스크램젯(scramjet) 엔진을 채용하기 때문이다.

보잉은 2004년 마하 9.68(시속 1만2144㎞)을 달성한 시험기 'X-43'과 후속기인 'X-51A'를 토대로 이 기체를 구상했다. 특히 마하5에 달하는 초음속 영역에서 가속하는 기체를 개발하기 위해 보잉의 설계자는 모든 관련 분야를 동시에 통합하는 과정인 'MDD(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다각적∙전문적 디자인 최적화)'를 채용하여 X-51A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그 노하우를 이번 '선 오브 블랙버드'에 적용했다.

이 구상은 SR-71 블랙버드를 개발·생산한 록히드 마틴의 선진 개발 계획 부문 '스컹크 웍스'가 개발 중인 'SR-72'와 경합하는 것으로, 두 경쟁자 모두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의 지원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보잉의 '선 오브 블랙버드'와 경합할 록히드 마틴의 'SR-72'. 자료=록히드 마틴이미지 확대보기
보잉의 '선 오브 블랙버드'와 경합할 록히드 마틴의 'SR-72'. 자료=록히드 마틴

만일 보잉의 방안이 선택될 경우, 우선 엔진 1기만 탑재한 F-16 전투기 크기의 실증기를 제작하여 연구 개발을 수행한 다음, 이후 실제 기체에 가까운 기체를 제작하고 추가 연구개발을 실시하는 2단계의 과정이 상정되어 있다. 최종적인 선 오브 블랙버드의 기체 크기는 SR-71 블랙버드의 107피트(약 37m)와 거의 동일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방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는 고고도 초음속 정찰기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과거에 비해 성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정찰위성이나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첩보활동 등의 진화로 그 '존재의 의미'가 개편되려는 움직임도 관측된다.

또한 기존의 정찰기와는 다른 특수한 구조를 갖게 되는 '선 오브 블랙버드'와 'SR-72'의 경우 제조비용 및 운영비용이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예산에 맞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