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호주 자궁경부암 효과적 퇴치 첫 국가 가능성… HPV 백신 무료 접종 프로그램 도입 감염률 '뚝'

공유
9

호주 자궁경부암 효과적 퇴치 첫 국가 가능성… HPV 백신 무료 접종 프로그램 도입 감염률 '뚝'

40년 내 완전퇴치 전망... 18~24세 여성 HPV 감염 1.1% 수준 감소

국제인유두종바이러스협회(IPVS)는 호주가 자궁경부암을 퇴치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자료=IPVS이미지 확대보기
국제인유두종바이러스협회(IPVS)는 호주가 자궁경부암을 퇴치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자료=IPVS
[글로벌이코노믹 김길수 기자] 호주가 자궁경부암을 효과적으로 퇴치한 첫 국가가 되고 향후 40 년 이내에 완전히 퇴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이 예상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 무료 접종 프로그램을 도입한 호주에서 최근 HPV 감염률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과 소식을 접한 의료계는 일제히 호주가 "자궁경부암을 퇴치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HPV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원인의 99.9%라고 알려져 있으며 호주는 2007년부터 12·13세 여아에게 무료로 백신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 후 2013년에는 백신 대상을 남아에게까지 확대하고 19세 미만의 소년·소녀라면 누구나 무료로 2회분의 백신 접종을 받게 했다.

그 결과 2016년 현재 호주에서는 15세 소녀의 78.6%와 소년 72.9%가 백신 접종을 받았으며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0년 동안 18~24세 호주 여성의 HPV 감염 비율은 22.7%에서 1.1% 수준으로 크게 감소했다.

국제인유두종바이러스협회(International Papillomavirus Society, IPVS)는 최근 감염질환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감염병 저널)'에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백신의 성공 덕분에 자궁경부암은 조만간 공중 보건 문제에서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IPVS는 자궁경부암의 예방과 검사에 대해서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 정책 입안자에게 조언하는 멜버른 대학의 수전 갈랜드(Suzanne Garland) 교수를 포함한 HPV 자궁경부암 연구진이 창설한 단체다.

갈랜드 교수는 "호주는 자궁경부암 퇴치라는 이정표를 달성하는 첫 국가가 될지도 모른다"며 "현재 연간 1000건 정도 있는 자궁경부암 발병률은 30~40년 후 단 몇 건 정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우리는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서는 HPV에 대한 백신 '가다실(Gardasil)'을 개발한 퀸즈랜드 대학의 이안 프레이저(Ian Frazer) 박사도 "호주 정부는 솔선해서 HPV 백신을 도입하고 학생들이 무료로 백신을 받도록 했다. 이것은 의학 연구의 위대한 성공 스토리라고 할 수 있다"고 칭찬했다.
또한 "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해 의학 연구가 그 문제의 원인을 밝혀내고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었다"며 "작은 부분이지만 내가 그 역할을 담당했던 데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이어 호주 정부가 2017년 12월 도입한 고도의 자궁암 검사 프로그램과 함께 백신 접종이 계속되면 10~20년 후에는 새로운 사례가 발견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현재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고 있는 여성은 50~60% 밖에 없지만, 향후 100%의 여성이 검사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비록 백신 접종이 없더라도 자궁암에 걸릴 여성은 이 나라에서 없어질 것"이라고 프레이저 교수는 덧붙였다.

갈랜드 교수 또한 "자궁경부암의 근절은 백신 접종률과 검사율 모두에 좌우된다"고 지적하며, 부모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아이들에게 예방 접종을 실시하도록 당부했다. 2018년 현재, 호주 고교생들이 백신을 접종받는 비율은 77%에 달한다. 갈랜드 교수는 나머지 20%의 아이들에 대해 "자궁경부암과 HPV 관련 성병을 예방하는 기회를 잃었다"고 경고했다. 그리고 안전성에 대해 우려하는 부모들에게 "매우 안전한 백신임"을 강조하며, "부모 스스로 암에 걸릴 확률과 부작용이라는 두 가지 리스크를 비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