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세종 '자율주행차 공유도시‘ 부산 '친환경 물 특화도시’

공유
0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세종 '자율주행차 공유도시‘ 부산 '친환경 물 특화도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조성 차별화 전략 인포그래픽이미지 확대보기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조성 차별화 전략 인포그래픽
[글로벌이코노믹 김종환 기자] 세종에 자율주행차를 활용하는 공유 자동차 기반 도시가 조성되고 부산에 첨단 물순환 기술을 바탕으로 한 친환경 수변 도시 등의 스마트시티로 거듭난다.

대통력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첨단산업센터에서 세종시 5-1지역과 부산 강서구의 에코델타시티에 세워지는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의 본격적인 추진을 위한 큰 그림을 마련해 기본구상안을 발표했다.
국가 시범도시는 백지상태의 부지에 4차산업혁명 관련 新기술을 자유롭게 실증‧접목하고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구현되는 혁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여 미래 스마트시티 선도모델을 제시했다.

세종과 부산 등 2곳이 국가 시범도시로 지정되어 세종시 연동면 5-1 생활권(274만㎡)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7000억 원을 부산시 강서구 에코델타시티(219만㎡)은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1조 원을 투입한다.

세종은 뇌과학자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가 부산은 영국 스타트업 육성 기업인 엑센트리의 천재원 대표가 각각 총괄책임자(MP: Master Planner)를 맡아 기본구상을 마련했다.

◇ 세종 '자율주행차 공유도시‘


세종 5-1 생활권은 ‘시민행복을 높이고 창조적 기회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도시’를 비전으로 제시된 가운데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와 환경 등 4대 핵심요소가 강조됐다.

세종 5-1 생활권의 경우 도시 공간구조와 관련해 혁신적인 제안을 기본구상에 담아 자율주행차 공유도시를 기반으로 하는 신교통 시스템이 도입했다.

개인 소유 자동차는 생활권으로 진입하는 입구에 주차하고 내부에서는 자율주행차량과 공유차량 및 자전거 등을 이용하여 이동하도록 했다.

새로운 도시 공간체계로서 기존과 같은 용도지역에 기반한 도시계획에서 탈피하여 도시 전체를 리빙/소셜/퍼블릭으로만 구분하는 ‘용도지역 없는 도시(용도혼합 및 가변)’로 도시가 조성된다.

이는 사전적인 용도지역의 지정‧구분에 따라 직주근접이나 혁신적 도시 조성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고 기존 신도시 조성의 토지이용계획 중심 개발 등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자는 취지다.

이밖에 신경건축, 유니버셜 디자인 등 도시 디자인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도 강조됐다.

◇ 부산 '친환경 물 특화도시’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시범도시의 비전으로 '자연·사람·기술이 만나 미래의 생활을 앞당기는 글로벌 혁신 성장 도시’가 제시됐다.

부산 강서구의 에코델타시티의 경우 둘러싼 물과 수변공간을 적극 활용하여 세계적인 도시 브랜드를 창출한다는 목표로 ‘친환경 물 특화도시(Smart Water City)’가 조성된다.

시범도시 내 3개의 물길이 만나는 세물머리 수변공간을 적극 활용하는 동시에 수자원 관리와 하천 재해예방을 위한 스마트 상수도‧빌딩형 분산정수‧수열에너지‧에코필터링‧저영향개발(LID) 등 물 관련 신기술을 접목한 한국형 물순환 도시 모델로 조성할 계획이다.

스마트시티 테크 샌드박스 운영 등을 통해 국내 스타트업의 시범도시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新성장 산업 기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나간다.

에코델타시티가 주요 국가 교통망(김해공항, 제2남해고속도로, 부산신항만) 및 녹산 및 신평‧장림 국가산단, 사상 스마트밸리 등 주요 산업단지와 인접하여 산업‧물류 중심의 장점이 있는 것을 고려하는 한편, 4차산업혁명 관련 다양한 첨단산업을 유치‧육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VR‧AR 및 BIM 기술, 3D 맵 기반의 가상도시를 구축해 도시계획-건설-운영‧관리 단계에서 온라인 의견수렴 및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상상이 현실이 되는 도시(Smart Digital City)’도 제안됐다.

정부는 기본구상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시범도시에 접목 가능한 기술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규제개선, 예산지원 및 연구개발(R&D) 연계, 벤처·스타트업 참여 지원, 해외진출을 위한 국제협력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의 구체적 시행계획으로 연말까지 사업시행자의 사업비 외에 재정 지원 및 민간 투자 규모를 확정하고 오는 2021년 말 입주를 목표로 조성된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은 "스마트시티는 다양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담아내는 플랫폼으로서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며 "기본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환 기자 axkjh@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