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인도 수입산 소비재 관세 부과 움직임…삼성·LG '방긋'

공유
2

[글로벌-Biz 24]인도 수입산 소비재 관세 부과 움직임…삼성·LG '방긋'

지난 7월 9일(현지시간) 삼성전자 제2공장 준공식.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7월 9일(현지시간) 삼성전자 제2공장 준공식.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오소영 기자] 인도가 수입산 소비재에 대한 관세 인상을 검토하면서 전자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현지 생산체계를 구축한 만큼 관세 부과로 인한 피해는 제한적이며 오히려 반사이익을 볼 거란 분석이 나온다.

1일 인도 현지언론에 따르면 인도 관세·간접세 중앙위원회(CBIC)는 수입산 소비재에 대한 관세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라메쉬(Ramesh) CBIC 위원장은 “국내 산업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며 “수입산 소비재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도 제조업을 지키기 위한 방안 중 하나”라고 현지 언론을 통해 전했다.
위원회가 우려하는 건 통합간접세(GST) 세율 인하 조치다. GST는 인도 주별로 다양하게 시행되던 간접세를 일원화한 통합부가가치세다. 인도 정부는 최근 내수 진작을 위해 간접세를 낮추는 방안을 발표했다.

대상은 세탁기와 냉장고, TV, 온수기 등 생활필수품 50개다. 이들 제품은 지난달 27일부터 상품 가격의 최대 28%까지 부과되던 세금이 18%로 떨어졌다.

간접세 인하는 수입품에 부가되는 상계관세(CVD)를 낮추는 효과를 불러온다. 결과적으로 수입품이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되면서 현지 기업들에겐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이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의 방향성과도 어긋난다. 위원회가 수입산 소비재에 물리는 관세를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한 이유다.

인도 정부의 관세 인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 2월 발표된 2018년도 예산안에는 보호 대상 산업을 중심으로 관세를 올리는 안이 포함됐었다. 관세 조정사항을 보면 휴대폰은 20%로, 액정표시장치(LCD)·발광다이오드(LED)·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휴대폰 부품은 15%로 관세가 상향됐다.

수입물품 관세가 높아지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전자업계도 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구체적인 관세 부과 계획을 지켜봐야 한다”며 “과거에도 TV 부품 관련 관세를 인상한다고 했는데 현재까지 실체가 없다”라고 밝혔다.

다만 실제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피해는 적을 거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오히려 애플을 비롯해 수입 비중이 높은 경쟁 업체들의 피해에 따라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인도 수요는 현지 생산으로 전량 대응하고 있다”며 “관세 부과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인도 첸나이에서 TV와 생활 가전을, 노이다에서 스마트폰을 생산하고 있다. LG전자도 인도 노이다와 푸네에 생산공장을 보유한다.

업계는 지속적인 투자로 현지 생산을 늘려왔다. 삼성전자는 올 7월 노이다 공장 증설을 마쳤다. 노이다 공장의 스마트폰 생산량은 한해 6700만대 규모에서 1억2000만대까지 늘었다.

LG전자도 지난 5월부터 TV 오픈셀(백라이트 모듈을 장착하지 않은 반제품 형태) 생산라인 가동을 시작했다. 이 공장에선 32인치와 43인치 오픈셀을 만들고 있다.


오소영 기자 o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