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2024년 세계 가정용 ESS시장 12조원대… 한국은 '제자리 걸음'

공유
6

2024년 세계 가정용 ESS시장 12조원대… 한국은 '제자리 걸음'

LG전자 100kW급 태양광 발전용 올인원 ESS 제품 사진. 사진=LG전자이미지 확대보기
LG전자 100kW급 태양광 발전용 올인원 ESS 제품 사진. 사진=LG전자
[글로벌이코노믹 백승재 기자]
유럽과 미국, 호주 등을 중심으로 세계 가정용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시장이 급성장 중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가정용 ESS 시장은 아직 ‘제자리걸음’이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내비건트리서치는 글로벌 가정용 ESS시장 규모가 지난해 기준 7300억원이었으며 연평균 44%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2024년이면 가정용 ESS 시장이 12조원 규모까지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은 이미 가정용 ESS를 보급하기 우이해 정부가 지원을 하는 모습이다. 한 예로 미국 캘리포니아 주(州) 정부는 지붕형 태양광 발전과 연계한 ESS를 설치하며 킬로와트(kw) 당 1620달러(약 183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세계 가정용 ESS 출하량의 1/4을 차지하는 독일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50%로 늘리기 위해 가정용 ESS 보급을 가속화하고 있다. 독일은 태양광 발전 사용 가정이 100만 가구가 넘는다. 호주는 지난해 4분기 가정용 ESS 시장 규모가 지난해 3분기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국내 ESS 시장은 아직 기업 중심이다. 가정용 ESS시장은 아직 열리지 않았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ESS시장 규모와 직결되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적은 것도 주된 이유다. 전력거래소가 발간한 ‘2017 전력시장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신재생에너지 전력 거래액은 총 2조460억원이다. 2016년 거래액(1조7040억원)보다 20.1% 증가했지만 신재생에너지는 전체 에너지 수급량의 7%에 불과하다. 특히 전체 신재생에너지 전력 거래액 가운데 주택 거래액은 2%에 불과하다.

관련 정책이나 지원도 미미한 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서울 공릉동 임대주택에 ESS 0.6㎿h(설치비 8억원)를 연말까지 설치하기로 했다. 또한 공동주택 최초로 ESS를 비상 전원용으로 활용하는 등 가정용 ESS 보급을 촉진할 방침이다. 그러나 보급되는 가정이 100가구에 불과해 보급률을 향상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다.

업계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없으면 국내 가정용 ESS시장이 성장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아파트 등 다세대 주택 중심 거주문화에 걸 맞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또한 정부의 그릇된 정책이 국내 가정용 ESS 시장 성장을 오히려 막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5일 ESS를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했다. 다만 전력변환장치(PCS) 용량이 250kW 이하인 제품만 중소기업이 맡고 그보다 큰 제품은 대기업도 만들 수 있도록 했다.

가정용 ESS 보급의 전초가 될 정부기관 ESS 의무 설치 정책에 중소기업만 입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국에너지공단과 업계에 따르면 250kW가 넘는 제품을 설치할 만한 공공기관 건물은 154개(16%)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정책은 해외 시장에서 ESS 보급률을 높이고 있는 대기업이 국내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사실상 막은 것이나 마찬가지다"라며 “공공기관 ESS 보급을 시작으로 가정용 ESS 시장도 열릴텐데 기술력과 안정적인 공급망을 갖춘 대기업을 배제한다는 건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 가정용 ESS 시장은 아직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면서 “산업용 ESS 증가도 중요하지만 정부가 원하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달성하려면 가정용 ESS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 정부의 직접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기업들의 참여를 높이는 게 시장 확장과 보급률 상승에 더 효율적"이라고 진단했다.


백승재 기자 tequiro071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