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韓, 태양광·풍력으론 급증 전력 대체 불가…203조원 투입한 독일도 실패"

공유
9

"韓, 태양광·풍력으론 급증 전력 대체 불가…203조원 투입한 독일도 실패"

'원자력 노벨상' 받은 장윤일 교수 KAIST 특별 강연
"원자력, 한국 에너지 안보에 계속 중요한 역할할 것
중국등 전세계 19개국이 100기의 원전을 추가건설"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석학교수이자 로렌스상 수상자인 장윤일 교수가 25일 KAIST 대전 본원 기계공학과 공동강의실에서 ‘세계 원자력의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사진=KAIST)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석학교수이자 로렌스상 수상자인 장윤일 교수가 25일 KAIST 대전 본원 기계공학과 공동강의실에서 ‘세계 원자력의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사진=KAIST)
[글로벌이코노믹 이재구 기자] “한국과 같이 폐쇄된 전력 시장에서 시간대 별로 초과 또는 부족한 전력의 관리는 어려운 문제가 될 것이다.태양광과 풍력 에너지의 이점은 대부분 무효화 될 것이다. 세계 인구 증가세를 고려할 때, 2050년께 지금보다 2.5배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 원자력은 한국의 에너지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전세계는 향후 10년 안에 중국을 비롯한 19개국이 100기의 원전을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25일 국내 최초로 원자력 분야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로렌스 상을 수상한 장윤일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석학교수를 초청, ‘세계 원자력의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한 특별 강연을 통해 미래 원자력 에너지의 필요성과 안전성에 대해 강조했다.
장 교수는 무엇보다도 “급속도로 증가하는 인구를 고려할 때 원자력을 포함해 석탄·천연가스·석유·수력·태양·풍력·바이오매스 등 가용한 모든 에너지원이 필요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우리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해 직접적으로 비판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는 “원자력만이 미세먼지를 포함해 대기오염이나 온실가스 발생이 없고, 원자재나 토지를 가장 적게 사용한다”며 “앞으로 전력 수요 증가를 고려하면 우리는 발전 방식을 고르고 선택할 여유가 없을 것”이라고 말해 원자력이 강력한 대체 발전수단으로 활용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함께 친환경 에너지 사용 정책을 추진했지만, 이산화탄소 배출과 초과 전력 관리에 실패한 독일 정책 실패 사례를 들면서 기존 정책에 대한 재고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장 교수에 따르면 독일은 지난 5년간 1810억 달러(한화 203조 226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34 GWe) 규모의 풍력 및 태양광 발전을 건설했다. 그는 “독일은 지난 5년간 1810억 달러(약 200조 원)를 투자해 약 34 GWe(기가와트일렉트릭·1GWe는 원전 1기 설비용량) 규모의 풍력 및 태양광발전을 건설했다. 그러나 풍력과 태양광은 약 20~25%의 시간 동안에만 전력을 생산하며 전력을 생산하지 않는 시간을 위해 대체 에너지원이 필요하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한국과 같이 폐쇄된 전력 시장에서 시간대 별로 초과 또는 부족한 전력의 관리는 어려운 문제가 될 것이며 이로 인해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의 이점은 대부분 무효화 될 것이다”이라고 전망했다.

각국의 인당 전력소비량 증가 추이 (자료=KAIST)이미지 확대보기
각국의 인당 전력소비량 증가 추이 (자료=KAIST)
장교수는 원자로가 5차방어벽을 갖고 있을 정도로 안전성에 신경쓰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이미지 확대보기
장교수는 원자로가 5차방어벽을 갖고 있을 정도로 안전성에 신경쓰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전세계 각국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 비용과 우리나라의 경쟁력 비교(자료=MIT)이미지 확대보기
전세계 각국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 비용과 우리나라의 경쟁력 비교(자료=MIT)


장 교수는 원자력이 한국 에너지 안보에 계속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가장 우려되는 원자력 안전 문제에 대해서는 “지진폭이나 파괴력 측면에서 한·일 지진은 천지차이인 만큼 한국에서 지진에 따른 피해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후쿠시마 사고의 경우 사상자가 대부분 쓰나미 때문에 발생했고 발전소에선 1명의 희생자도 없었다”며 원자력이 생각보다 안전한 에너지원이라는 점을 역설했다.

특히 2016년 경주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5.8의 지진은 후쿠시마 인근에서 발생한 9.0 수준의 지진과 비교했을 때, 지진 폭은 1600분의 1, 파괴력은 6만4000분의 1에 불과했다며 근거를 제시하기도 했다. 또 “원자로만 봐도 강철과 콘크리트로 5차 방어선까지 갖출 만큼 안전하다"고 강조하며 “장기적으로 볼 때 사용후 핵연료 처분 방법의 하나인 ‘파이로프로세싱 기술’을 확보하는 국가가 원전 기술 선도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장 교수는 또 현재 중단될 위기에 놓인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제4세대 원전 고속로 프로젝트 재가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은 일부 원전을 폐쇄하였고 독일은 탈원전 정책을 다시 채택했다"며 "그러나 다른 국가에서는 원자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전 세계가 원전 건설을 더 이상 확대하지 않는다는 주장과는 달리 1995년 이래 한국, 인도, 중국, 러시아, 벨라루스 및 우크라이나에 약 80 개의 신규 원전이 건설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향후 10년 안에 중국을 비롯한 19개국이 100기의 원전을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도 말했다.

한편 로렌스 상은 1959년 12월 제정됐으며 장윤일 교수는 1993년 일체형 고속로 개발 프로젝트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공로로 이 상을 받았다.


이재구 기자 jk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