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준금리 3개월째 동결, 대내외 불확실성 영향…3월 미국FOMC 분수령

공유
0

기준금리 3개월째 동결, 대내외 불확실성 영향…3월 미국FOMC 분수령

연 1.75% 유지, 반도체 수출부진과 고용악화 등 국내 경기둔화 등 영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월 통화정책방향 관련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붕을 두드리며 시작을 알리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월 통화정책방향 관련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붕을 두드리며 시작을 알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최성해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두 번째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기준금리는 연 1.75%를 유지하게 됐다.

한은은 28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통위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75%로 동결했다.
기준금리는 3개월 연속 동결해 지난해 11월 인상된 이후 석달째 제자리에 머물게 됐다.

앞서 한은은 지난 2017년 11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1.50%로 올리고 1년 만인 지난해 11월 1.75%로 다시 0.25%p 인상한 바 있다.

이날 기준금리 동결 배경엔 반도체 수출부진과 고용악화 등 국내 경기둔화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중국의 경기둔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부진한 경제지표도 한몫했다. 최근 발표되고 있는 성장, 부채, 고용 등 각종 지표들도 금리동결의 주요 원인이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자부품은 -5.4% 감소했다. 액정표시장치(LCD) 부문에서 중국 업체들의 경쟁력이 강화되며 한국의 경쟁력이 악화됐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좋지 않았던 반도체 역시 전월 대비 0.4% 소폭 증가했으나 회복세로 판단하기에 이르다.
앞으로 전망도 불투명하다. 경제성장률의 경우 주요 기관들은 2.4~2.5%로 지난해보다 낮춰 잡고 있다.

한편 향후 금리 향방은 3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제롬 파월 의장은 지난 26∼27일 의회에 출석해 당분간 금리동결과 보유자산 축소 중단 계획 발표를 시사했다. 이와 관련한 입장이 3월 회의에서 나올 전망이다.

연준이 금리인상을 조기에 끝낸다면 한은의 통화정책 방향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반대로 금리를 더 올린다면 한은에는 통화정책의 운신 폭이 줄어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미 금리 역전 폭이 현재 0.75%포인트에서 1%포인트 이상으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한국은행 입장에서 경제지표부진에도 경기를 살리기 위한 금리인하가 사실상 어렵다는 관측이다.


최성해 기자 bad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