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주요 손해보험사들의 올해 6월 누계 자동차보험(가마감 기준) 손해율은 84.7~103.6%를 기록했다. 업계에서 통용되는 자동차보험 적정 손해율은 77~80%다.
회사별로 살펴보면 MG손해보험이 103.6%로 가장 높았다. 이어 롯데손해보험 96.8%, 한화손해보험 90.6%, 삼성화재 87.1%, DB·KB손해보험 86.8%, 현대해상 86.5%, 메리츠화재 84.7% 순이다.
이에 따라 순이익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메리츠화재·한화손해보험 등 5개사의 2분기 순이익은 5903억 원으로 전년 동기 8264억 원에 비해 무려 28.6%나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통상 폭염, 태풍 등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여름철인 7~8월에 훌쩍 오른다. 아직 이 영향이 미치지 않았음에도 손해율이 적정 손해율보다 높은 것이 문제라고 손보업계는 입을 모았다.
손해율로 인해 수익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올해 들어 이미 두 번이나 인상을 한 바 있어 세 번째 인상에는 고민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월 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보, KB손보, 메리츠화재 등 주요 손보사들은 자동차보험료를 3~4%가량 올렸다. 이후 지난달에는 육체노동 가농연한 연장 등을 이유로 1.5~2% 수준 인상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자동차손해율 보험사 수익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두 번이나 인상했음에도 수익 악화를 보전하기가 어려워 업계에서 자동차보험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보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br0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