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교육부, '위안부' 기림의 날과 광복절 맞아 계기교육 권장

글로벌이코노믹

교육부, '위안부' 기림의 날과 광복절 맞아 계기교육 권장

오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비 동상 제막식 열려
서울 남산의 조선신궁터 부근에 세워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비 동상.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남산의 조선신궁터 부근에 세워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비 동상.사진=뉴시스
교육부가 14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기림의 날)과 광복절을 앞두고 학생들이 위안부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과 전쟁 중 여성인권 문제를 배울 수 있도록 각 시·도교육청과 대학에 계기교육을 권장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말 각 시도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이달 말, 늦어도 개학 이후인 9월 초까지 각 초·중·고와 대학에 계기교육을 당부했다고 14일 밝혔다.

계기교육은 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특정 주제에 대해 이뤄지는 교육이다.

교육부는 계기교육 수업 등에 일본군'위안부' 피해자e-역사관(hermuseum.go.kr)에 탑재된 여성가족부 제작 자료를 활용하도록 했다.
교육부는 이날 기림의 날과 광복절을 맞아 학생들이 '나비' 기림 뱃지 달아주기와 작품전시회, 자선행사 등 지역사회와 함께 할 수 있는 홍보캠페인에 참여하거나 가족단위로 나눔의 집 또는 소녀상 방문 등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실시하도록 홍보에 힘써달라고 안내했다.

정부는 지난 9일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학교부터 시민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동북아 역사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교육부는 동북아역사재단 등 역사 유관기관에서 추진하던 시민 역사교육과 동북아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추후 확대·개선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기림의 날은 올해로 두 번째로, 정부는 고(故) 김학순(1924~1997년) 운동가가 지난 1991년 8월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 공개 증언한 날을 국가 기념일로 지정했다.

정부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일제 침략의 역사를 안고 있는 서울 남산의 조선신궁터 부근(남산도서관 옆 회현동1가 100-266)에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과 투쟁, 용기를 기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 동상 제막식을 이날 한다.


유명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y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