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동해시 추암동 바닷가에 있는 촛대바위가 19일 포털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추암 바닷가에는 능파대(凌波臺)가 있다. 산과 바위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원래 용추(龍湫)라 했던 곳인데, 1463년(세조 9)에 한명회가 동계를 순시하다가 그 위에 올라 관상하고 능파대라 했다고 전해진다. 예로부터 삼척에서는 바다의 절경으로 소금강이라 했으며, 척주팔경 중 하나다.
능파대 앞에는 높이 5~6길쯤 되는 바위 하나가 우뚝 솟아 있는데, 그 모양이 촛대처럼 생겼다 해서 촛대바위라 한다.
추암은 일군의 바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촛대바위는 추암 중 촛대처럼 생긴 바위 하나만을 지칭하고 있다. 그러므로 촛대바위라는 이름은 후대에 생겼다고 할 수 있다. 추암이라고도 한다. 바위가 원래 2개였는데, 그중 하나가 1681년(숙종 7) 강원도에 지진이 났을 때 중간 부분이 부러졌다고 한다.
이 기묘한 바위들은 파도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동해팔경 중 하나이다. 사람들은 촛대바위를 보고 기도를 하면 소원이 이뤄진다는 전설이 있어 주말이면 사람들로 북적인다.
온기동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1699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