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의사 국시' 연기에도 '단체행동'은 계속"…정부‧의료계 싸움에 국민 속만 타들어가

글로벌이코노믹

"'의사 국시' 연기에도 '단체행동'은 계속"…정부‧의료계 싸움에 국민 속만 타들어가

복지부가 실기시험 1주일 미뤘지만 의료계는 정책 철회 입장 고수하며 파업 확대
정부가 '의사 국가시험'을 연기했지만 의대생 등 의료계의 단체행동을 거세지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정부가 '의사 국가시험'을 연기했지만 의대생 등 의료계의 단체행동을 거세지고 있다. 사진=뉴시스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의료 정책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길어지면서 국민 속만 타들어가고 있다. 정부가 한발 물러섰지만 의료계는 정책 철회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2021년도 '제85회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을 하루 앞둔 지난달 31일 시험을 1주일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9월 1일부터 18일까지 예정된 시험은 9월 8일부터 25일까지로 조정됐다.

정부는 그동안 시험을 준비해온 학생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당초 계획대로 시험을 시행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응시 취소자가 90%에 달해 차후 의료 공백 등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아 시험 연기를 결정했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도 의료계의 파업이 멈추지 않는다는 점이다. 시험을 연기하며 정부가 사실상 한발 물러섰지만 의대생들과 의사 전 직역은 정책 철회를 주장하며 단체행동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대한의사협회가 예고한 9월 7일 '전국의사총파업'에 맞춰 파업 강도를 높이고 있다.
실제로 의대생들을 대표하는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는 여전히 국시 거부 방침을 표명했다. 일부 전공의와 전임의들은 사직서를 제출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며 단체행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일례로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는 소속 전공의 953명 중 895명(93.9%), 전임의 281명 중 247명(87.9%)이 업무 중단과 사직서 제출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정부의 전공의 고발 조치에 반발한 의대 교수들이 행동에 나섰다. 서울성모병원 외과 교수 일동이 9월 7일 하루 동안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했으며 중앙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들은 사직 성명서를 공개했다.

지방 의대들도 마찬가지 모습이다. 지난달 말 충북대 의과대학 교수회, 충북대병원 임상교수협의회가 성명을 냈으며 이후 전남대 의과대학 교수회, 전북대·부산대 의대 교수들이 전공의의 뜻을 지지하며 행동에 동참한다는 뜻을 천명했다.

정부와 의료계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국민들의 속은 타들어가고 있다. 환자를 외면한 파업이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없는 만큼 국민건강을 위한 의사의 본분을 기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의대생과 전공의 등이 정부에 백기 투항을 요구하고 있어 진정성 있는 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시간이 지나면서 더 깊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다양한 청와대 국민 청원이 등장하고 있을 정도로 국민의 걱정은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무조건적인 반대와 반발보다는 정부와 의료계가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재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oul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