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안재용 사장 "IDT 인수, SK바사 3.0 가속 원동력 될 것"

공유
0

안재용 사장 "IDT 인수, SK바사 3.0 가속 원동력 될 것"

독일에 설립한 자회사 통해 IDT 지분 60% 3390억원에 취득
이번 인수로 건설과 국제인증 등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 가능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27일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은행회관 국제회의장서 IDT인수에 따른 SK바이오사이언스 3.0 성장전략의 가속화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이재현 기자.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27일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은행회관 국제회의장서 IDT인수에 따른 SK바이오사이언스 3.0 성장전략의 가속화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이재현 기자.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27일 진행된 IDT 바이오로지카(이하 IDT) 인수는 SK바이오사이언스에게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SK바이오사이언스는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IDT 인수를 통한 효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날 오전 8시께 독일의 위탁개발생산(CDMO)기업인 IDT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IDT는 암젠과 얀센, 다케다 등 글로벌 제약사의 의약품 CDMO를 맡았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유행할 당시에는 아스트라제네카(AZ)로부터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는 등 유럽 CDMO의 대표 기업 중 하나다.

이번 인수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독일에 설립한 자회사를 통해 IDT 구주 일부와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신주를 포함해 지분 60%를 3390억원에 취득하는 조건으로 진행됐다. 나머지 40%의 지분은 독일의 클로케 그룹이 보유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자사 지분의 1.9%를 확보하기 위해 클로케 그룹이 자사에 760억원을 투자하면서 실질적으로 2630억원에 IDT를 인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물보안법과 관련해 반사이익 살펴볼 계획" 밝혀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인수를 통해 △2배 수준의 매출 신장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기준 품질을 충족하는 생산 역량과 고객 네트워크 확보 △미국과 유럽, 한국 등 글로벌을 잇는 통합 인프라 구축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IDT 인수에 대해 안 사장은 '시간'을 구매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안동 공장 증설을 진행하고 있는데 건설과 국내외 규제기관으로부터 인증 획득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해외에 공장을 건설해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IDT의 공장은 이미 미국 식품의약국(FDA)와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각종 허가를 획득했기에 이를 절약했다는 것이다.

안 사장은 "SK바이오사이언스 안동 L하우스에 신규 공장을 증설하려면 5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한데 투자를 통해 해당 시간을 벌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수를 통해 IDT의 실적도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 사장은 백신 사업의 경우 연평균 10% 성장하고 세포유전자치료제(CGT)는 30%, 완제의약품생산(DP)도 10%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안 사장은 이번 인수를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 3.0이 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부터 송도에 건설이 시작되는 SK바이오사이언스 R&PD센터에서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고 안동L하우스와 IDT에서 생산과 CDMO사업을 하는 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전 세계의 전염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스카이 쉴드'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외에도 이번 인수를 통해 IDT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CGT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앵커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IDT인수와 관련된 설명이 끝나고 이어진 질의시간에서 SK그룹의 리밸런싱이 언급하는 선택과 집중에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SK그룹은 질적성장을 위해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안 사장은 "그룹 리밸런싱의 핵심은 기회를 놓치면 안된다는 것인데 이번 인수는 놓치면 안되는 기회"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최근 시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생물보안법의 영향이 있을 것이냐는 질의에 대해서는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 CDMO사업이 다른 업체로 갈 수 있다"며 "관련된 반사이익을 IDT가 볼 수 있을지 심도 있게 살피겠다"고 전했다.

끝으로 안 사장은 "오랜 고민 끝에 상사와 결이 맞는 매력적인 회사를 합리적인 가격에 인수했다"며 "이번 인수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3.0을 가속하는 강력한 동력일 될 것으로 전망되기에 구체적인 성과를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