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합병 무산 후 2030 비전 발표한 셀트리온제약…국내 5대 제약사로 도약할 것

글로벌이코노믹

합병 무산 후 2030 비전 발표한 셀트리온제약…국내 5대 제약사로 도약할 것

오는 2030년까지 국내 5대 제약사로 도약이 목표
제조와 연구, 영업 부문에 세부 도전 과제 제시
합병 무산에 따른 주주 달래기용 발표설…"중장기 계획 발표 예정이었다"
셀트리온제약이 2030 비전을 발표했다. 셀트리온제약CI. 사진=셀트리온제약이미지 확대보기
셀트리온제약이 2030 비전을 발표했다. 셀트리온제약CI. 사진=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제약이 셀트리온과 합병이 무산된 후 향후 비전을 제시하는 선포식을 진행했다. 이에 셀트리온 소액주주들의 환심을 사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셀트리온제약은 혁신적인 변화와 경쟁력 강화시켜 오는 2030년까지 국내 5대 제약사로 도약하겠다는 내용의 '비전 2030'을 19일 발표했다. 회사 핵심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부문별로 차별화한 성장전략을 기반으로 퀀텀 점프가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케미컬, 바이오의약품을 제조-판매하는 종합 제약사로서의 현재 역량을 면밀히 진단하고 △제조 △연구 △영업 부문별 세부 도전 과제를 제시했다.

제조 부문에서는 핵심 시설인 청주공장을 중심으로 생산능력 확대에 나선다. 청주공장은 미국, 유럽, 일본, 브라질 등 국제기관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인증을 획득한 그룹사 내 케미컬 제품의 핵심 생산기지로 연간 1600만 시린지의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사전 충전형 주사기(PFS) 생산시설도 확보하고 있다.
셀트리온제약은 올해부터는 본격 상업화 생산에 들어간 PFS제형 바이오의약품의 비중을 점차 높여 성장에 속력을 올릴 계획이다. 특히 PFS제형 의약품 수요의 선제 대응을 위해 청주공장 내 약 4100평의 여유 부지에 추가 생산라인을 구축할 예정이다.

공장 증설이 완료되면 생산능력은 현재의 최대 3배로 확대될 전망으로 확대된 생산능력과 글로벌 인증 획득을 바탕으로 글로벌 의약품 위탁생산(CMO)사업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연구개발 측면에서는 전문 인력을 보강해 관련 역량을 강화하고 항체-약물접합체(ADC) 항암제 및 신약 플랫폼 기술 개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셀트리온제약은 지난해 청주에 있는 연구개발 조직을 기존 제조부문 산하에서 대표이사 직속으로 격상하고 조직을 확대 개편해 인천 송도 글로벌생명공학연구센터로 이전 배치시켰다. 향후 신약 플랫폼 기술 뿐 아니라 혁신 신약까지 개발해 기술이전으로 매출을 높이는 신약 개발 회사로서 거듭날 것이라고 전했다.

영업 측면에서는 케미컬·바이오 의약품의 품목 확대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먼저 현재 국내 시장에 공급 중인 셀트리온의 램시마, 유플라이마 등 6개의 바이오시밀러 품목을 오는 2030년까지 총 22개 제품으로 크게 확대할 예정이며 △스테키마 △아이덴젤트 △옴리클로가 국내 허가를 마치고 출시를 앞두고 있다.

케미컬 부문에서는 연구소 자체 개발과 적극적인 기술도입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추가 확보하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다는 전략이다.

셀트리온제약 관계자는 "그간 축적된 역량과 경쟁력을 바탕으로 전 사업 부문이 고르게 성장하면서 지난 5년간 매출ㄹ액이 약 2배 성장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다변화된 포트폴리오와 매출 구조를 갖춘 종합제약사로서 성장세를 지속하고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상위 5위 업체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달성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발표가 앞선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의 합병 무산에 따른 주주들 환심사기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셀트리온은 셀트리온제약과 합병해 셀트리온그룹 완성을 목표로 잡았지만 셀트리온측 소액주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당시 소액주주들은 셀트리온제약의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등이 너무 낮고 합병비율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합병이 무산되고 바로 비전을 발표하자 합병의 사전작업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셀트리온제약 관계자는 "합병 무산과는 별도로 중장기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었을 뿐 노린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셀트리온제약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2141억원을 기록했다. 전통제약사 기준 매출로 5위 한미약품으로 약 7800억원을 달성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