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동아에스티에 따르면 앱티스는 최근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과제에 선정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하고 나섰다.
ARPA-H 프로젝트는 고비용, 고난이도나 파급효과가 큰 임무 중심형 R&D 추진을 통해 국가 보건의료 닌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표다.
앱티스가 참여하는 프로젝트는 '의료난제 극복 우주의학 혁신의료기술 개발 분야'로 우주 환경에서의 신약개발이 주요 골자다. 총 6개 기관이 함께하는 우구기업 스페이스린텍을 비롯해 KIST, 인하대병원, 보이저 스페이스&NASA, 하버드의대 등이 참여한다.
우주환경을 이용한 신약개발은 이미 시작됐다. 우주 중력은 지구의 약 100만분의 1 수준인 미세중력 상태다. 신약 개발에 필수 과정 중 하나인 단백질 결정화 단계에서 중력의 방해를 받지 않고 균열일하고 고품질의 결정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이같은 우주환경을 이용한 신약개발과 연구에 들어갔다. 국내 전통 제약사 중 우주환경을 이용한 신약개발을 직접하는 회사는 사실상 앱티스가 최초다.
앱티스는 3세대 링커로 알려진 '앱클릭'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도입할 수 있고 항체를 변형없이 사용하는 만큼 균일한 생산 품질도 확보가 가능한 차세대 링커 플랫폼이다.
이미 다수의 바이오 기업들이 앱티스와 협력을 통해 신약개발에 나섰다. 앱티스도 자체 보유한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을 내년부터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앱티스 관계자는 "앱티스는 항체 변형없이 위치선택적으로 균일한 수의 약물 접합이 가능한 ADC 링커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며 "신약개발의 혁신적 패러다임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