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말 대신 예쁜 토박이말을 쓰자(1)
[글로벌이코노믹=김영조 문화전문기자] 그동안 공휴일에서 빠져있던 한글날이 올해부터는 공휴일이 되었다. 이제 세계 최고의 글자 한글을 기리는 한글날은 이름 그대로 국가가 인정하는 날이 된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한자말이나 영어에 푹 빠져 우리 말글의 중요성을 모를뿐더러 서슴없이 짓밟기도 한다. 특히 많이 배웠다는 사람들의 말이나 글을 보면 어려운 한자말이나 영어를 심하게 섞어 버무리는 것을 많이 보게 되는데 마치 영어나 한자말이 아니면 글 한 줄 완성하기 어렵다는 식이다. 정말 그럴까?다행히 문학작품에서는 우리 말글을 살려 쓰고 있어 위안을 받는다. 소설의 예를 보자. 소설은 그 시대의 현실 언어를 가장 잘 반영한다고 한다. 국립국어원에서 1990년대 현대소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토박이말과 한자어를 살펴보면, 50위 안에 든 한자말은 33위에 '여자'란 한 낱말이 있을 뿐이며, 100위 안에도 여덟 단어 정도다. 이것은 사전에 실린 한자어가 우리말 전체의 70%나 된다고 하지만, 실제 말글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의외로 낮음을 말해준다.
소설에서 그렇다면 입말에서는 더더욱 그렇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한자말을 쓰는 것이 말글생활의 절대조건처럼 말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닐 것이다. 얼마든지 토박이말을 활용해서 좋은 말글살이를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하며, 또 그렇게 하는 것이 세종임금의 정신을 올바로 계승하는 것이라 말하고 싶다. 그런 점에서 아름다운 토박이말 이야기를 해보자.
자연의 아름다움과 관련된 토박이말들
이제 엄동설한이 지나고 온갖 아름다운 꽃들의 천지가 되었다. 얼음새꽃과 매화로 시작한 꽃잔치는 진달래, 철쭉, 산수유들로 수놓을 것이다. 봄날의 산에는 온통 수채화 세상이다. 그때 어떤 사람은 꽃의 아름다움이나 향기에 취하여 일어나는 어지럼증을 느끼는데 이를 '꽃멀미'라고 하고, '꽃보라가 인다'고도 말한다. 편지를 쓸 때 '꽃보라 맞고 꽃멀미 하셨나요?'라는 말을 쓴다면 맛깔스럽지 않을까?
꽃들이 지고나면 이제 여름날 더위로 곤욕을 치른다. 그 무더운 여름 시원한 바람 한줌은 정말 고맙기까지 하다. 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나눈 우리말 이름을 보면 '샛바람(동풍)', '하늬바람(서풍)', '맞바람(마파람:남풍)', '높바람(뒷바람:북풍)' 따위가 있다. 그런데 기상청은 이 바람을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바람의 세기(보퍼트 13 등급)로 나누고 아름다운 토박이말 이름을 붙여 놓았다.
연기가 똑바로 올라가 바람이 거의 없는 상태(풍속 초당 0∼0.2m)는 '고요', 풍향계에는 기록되지 않지만 연기가 날리는 모양으로 보아 알 수 있는 '실바람(0.3∼1.5m)'부터 시작하여 '남실바람', '들바람', '건들바람', '된바람', '센바람', '큰바람', '큰센바람', '노대바람', '왕바람'이 있으며, 지상 10m 높이의 풍속이 초속 32.7m 이상으로 육지의 모든 것을 쓸어갈 만큼 피해가 아주 격심한 것을 '싹쓸바람'이라 한다.
또 무더운 여름에는 한 바탕 소나기가 내리거나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시원해지는 '버거스렁이'를 기다린다. 하지만 '무더기비'는 되지 말아야 한다. 봄에는 '가랑비', '보슬비', '이슬비'가 오고, 여름에 비가 내리면 일을 못하고 잠만 잔다는 '잠비', 가을에 비가 내리면 떡을 해먹는다고 '떡비', 겨우 먼지나 날리지 않을 정도로 찔끔 내리는 '먼지잼', 모종하기에 알맞게 오는 '모종비'가 온다.
여기에 모낼 무렵에 한목 오는 '목비', 비가 오기 시작할 때 떨어지는 '비꽃', 볕이 난 날 잠깐 뿌리는 '여우비', 아직 비 올 기미는 있지만 한창 내리다 잠깐 그친 '웃비' 따위가 있다. 그리고 세차게 내리는 비는 '달구비', '무더기비', '자드락비', '채찍비', '날비', '발비', '억수' 따위의 비들이 있다. 여기서 기상예보나 뉴스를 들으면 으레 '호우경보'를 말하는데 이 '호우'라는 말은 일본에서 건너온 말이며, 조선시대에는 대우(大雨)를 썼다.
부채는 여름철을 시원하게 나기 위한 도구이기에 가을에는 그 부채가 쓸모없다. 그래서 철이 지나 쓸모없이 된 물건을 '가을부채'라고 말한다. 4자성어 '하로동선(夏爐冬扇)' 곧 '여름화로 겨울부채'와 같은 말이다.
가을 하늘 아득히 높은 곳에 '새털구름'이 있다. 그런가 하면 높은 하늘에 생겨서 햇무리나 달무리를 이루는 '위턱구름'도 있고,